중국이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스마트폰과 자동차의 세계시장 점유율에서 한국을 이미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회는 우리나라 10대 수출품목을 8개 산업으로 재구성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과 자동차, 조선해양, 석유화학, 정유, 철강 등 6개 주력 산업의 점유율이 중국에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먼저 스마트폰은 올해 2분기 판매량을 기준으로 한국이 중국에 1.2%포인트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화웨이·레노버·샤오미 등 중국의 주요 스마트폰 기업 9곳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31.3%, 한국의 삼성·LG의 점유율은 30.1%로 집계됐다.
고가 제품군에서는 애플 아이폰의 인기가 여전하고, 중저가 제품군에서는 가격경쟁력과 기술력까지 겸비한 중국업체의 다양한 제품이 자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이 뒤바뀐 것이다.
자동차산업은 중국기업이 생산한 차들이 2009년에 이미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3년까지만 해도 한국의 생산량은 337만대, 세계시장 점유율은 5.4%로 중국의 291만대, 4.7%보다 우위에 있었다.
그러나 2009년에는 중국이 243만대 가량을 앞서며 역전했다.
지난해에도 중국은 1097만대를 생산하며 점유율 12.5%를 기록한 반면 한국의 생산량은 863만대, 9.8%로 집계됐다. 한국이 해외생산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을 9%까지 끌어올렸으나 최근 정체기에 접어든 사이 중국은 내수를 기반으로 해외 업체들의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며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