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길거리 소화전 관리 부실

불법 주·정차 과정서 충돌로 파손·불량 올해 30건 / 설치는 자치단체·점검은 소방서 '업무 비효율적'

▲ 9일 전주 효자동 한 인도에 파손된 소화전이 방치돼 있다.

전주시가 잇따른 소화전 파손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소방급수 지원용으로 쓰이는 도로변 소화전은 대형 화재발생 때 요긴하게 쓰이는 데, 최근 운전자들이 도로 갓길에 불법 주·정차하는 과정에서 소화전이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전주시 등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완산·덕진소방서에서 시에 통보한 소화전 파손·불량 건수는 모두 30건이다.

 

이처럼 잦은 소화전 파손·불량 때문에 대형 화재발생 때 소방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소방기본법은 ‘시·도지사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화전을 설치, 유지·관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하지만 소화전 점검 업무는 관할 소방서가 맡고 있는 탓에 소화전 파손 여부를 해당 자치단체가 적기에 파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또한 소화전 파손 여부를 곧바로 알 수 있는 현장 점검이 매월 1회에 국한돼 있는 것도 문제다.

 

이 때문에 파손된 소화전이 오랜시간 방치돼 있는 것도 종종 볼 수 있다.

 

실제 전주 효자동의 한 인도에 설치된 소화전은 파손된 채 보름 넘게 방치돼 있었다. 인근에서 대형 화재 발생으로 인해 급수가 필요할 때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변효석 안전모니터봉사단 전북연합회장은 “소화전 관리 체계가 자치단체·소방서로 이원화됐기 때문에 제대로 된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면서 “화재 진압에 소화전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유지·점검업무가 한 기관으로 일원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소화전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틀을 순차적으로 늘려가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전주시 관계자는 “향후 관할 소방서와 협의해 차량으로 인해 파손이 우려되는 소화전에 대해 전수조사한 뒤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면서 “소화전을 보호할 수 있는 설비 마련에도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