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가격 업소 '착하기 힘드네'

지자체 지원 미미 자진취소·폐업 등 잇따라 / 식재료값 급등 가격유지 부담, 업주들 울상

착한가격 업소들이 힘겨운 겨울을 나고 있다. 갑자기 떨어진 기온과 폭설로 채소 등 식재료 가격이 크게 올라 ‘착한 가격’을 유지하기가 더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까다로운 선정 기준에 비해 지원은 미흡, 착한가게 지정을 자진 반납하거나 폐업하는 경우도 이어지고 있다.

 

15일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이달 초 30가지 주요 채소 도매가격은 지난달 초와 비교해 27~67% 상승했다. 특히 추위에 약한 시금치·대파·배추·깻잎 등 엽채류의 가격 상승폭이 컸다.

 

이에 따라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가격 업소들도 ‘포기의 유혹’을 받고 있다.

 

착한가격 업소에 대한 자치단체의 지원은 옥외 표지판 지급, 연 3회 이상 위생소독, 새마을금고 대출금리 0.5~1% 감면 등이지만 업소들은 이에 비해 착한가격을 유지해야 하는 책임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

 

특히 식재료 값이 오른 상황에서 가격을 유지하기란 더없는 부담이다.

 

전북지역의 경우 지난 2011년 212곳 지정과 함께 시작된 착한가격 업소는 2012년 37곳, 2013년 30곳, 2014년 상반기 15곳이 부적격 판정(자진취소·휴업·폐업·기준미달 등)을 받았다. 전북지역 착한가격업소 수가 2012년 353곳, 2013년 342곳, 2014년 369곳에 달하는 만큼 매년 10% 가량이 떨어져 나간 셈이다. 경기도 등 타 지역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전주의 한 착한가게 업소 관계자는 “요즘 같이 식재료 가격이 오르는 상황에서는 착한가격 업소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지 고민이다”며 “솔직히 정부와 전북도의 지원이 크게 다가오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착한가격 업소로 선정되거나 자격을 유지하려면 지역의 평균가격 이하여야 하고, 1년 이상 가격을 동결해야 하며, 서비스 친절도와 위생 청결 등의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내년부터 착한가격 업소 지원을 의무사업에 포함하고, 1곳 당 45만원 정도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업종에 따라 쓰레기봉투, 세제, 수돗세, 경영 컨설팅 등의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착한가격 업소는 지난 2011년부터 정부가 지방공공요금 및 개인서비스요금 안정관리를 목적으로 전국적으로 시행, 추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