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학교, 삶과 밀착돼야"

농어촌 희망 찾기 TF팀 워크숍 / "교사·학부모 등 비전 공유해야"

농어촌 작은학교를 살리기 위해서는 교육복지 사업이 생활의 터전 속에서 삶과 밀착된 가운데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22~23일 완주 상관리조트에서 열린 농어촌 희망 찾기 TF팀 워크숍에서 김용만 진안 청소년수련관 관장은 이같이 주장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학부모·활동가 간 비전 공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내년에 진안 10개 면단위 교육공동체 설립을 추진 중”이라면서 이를 위해서는 아동·청소년 거점기관으로서 청소년 단체 및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농어촌 소규모 학교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여러 논의들이 진행됐다.

 

이동성 전주교대 교수는 ‘농어촌 소규모학교 정책: 위기를 넘어 기회로’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소규모 학교 운영의 장점과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어 “소규모 학교의 운영이 방과후 학교, 돌봄 교실에 치중돼 있는데,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수업의 개선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지자체와 연계해 ‘교육을 통한 인구 증가 유도’라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의 행정에 관한 언급도 나왔다.

 

정성식 익산 왕궁초 교사는 그간 각 부서에서 사업별로 운영되던 농어촌 교육 행정상의 난맥상을 지적했다.

 

그는 도교육청이 내년 1월 1일자 조직개편을 통해 농어촌 학교 관련 업무를 교육혁신과로 일원화하기로 한 데 대해 “개인적으로 보면 농어촌 TF팀의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현규 정책공보담당관실 서기관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지난 2년간의 T/F팀 활동을 결산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