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임실군민들의 반대로 표류하고 있는 항공대대 이전 계획과 관련해 임실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 반발 등으로 인해 진척이 보이지 않던 항공대대 이전 사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29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항공대대 이전부지 문제를 최대한 빨리 매듭짓기 위해 지속적으로 임실군민을 설득해 나가겠다”면서도 “군민들을 설득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천문학적 비용의 보상금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전북지역을 비롯해 다른 광역자치단체권역까지 범위를 확대하겠다”면서 “항공대대 작전권 내 2~3곳을 항공대대 이전부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또 전주교도소 이전에 따른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법무부가 현 교도소 뒤쪽 평화2동 작지마을 인근 부지를 유력한 부지로 보고 내년 1월 현지실사 후 최종 이전부지로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한 뒤 “최종 이전부지가 확정되면 주민들의 이주문제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법무부와 지원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항공대대 이전사업은 전주시가 지난 2005년 11월, 35사단 부지활용 관련 에코타운 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면서 시작됐다.
이어 국방부가 현 임실 6탄약창을 이전 후보지로 선정하면서 본격화됐지만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10년째 한 발도 나가지 못했다.
이 가운데 항공대대 이전사업에 걸림돌이 됐던 국방부 훈령이 개정 작업에 들어가면서 진척이 없던 항공대대 이전에 파란불이 들어왔다.
훈령 개정으로 인해 이전지역 자치단체장과의 협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지만 해당 지역 주민과의 협의라는 난제가 남아 있다.
특히 주민들을 설득하는데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고 천문학적 비용의 인센티브 제공, 임실의 정치적 불안감 등을 고려해 볼 때 항공대대의 임실 이전이 현실적으로 쉽지 못한 상황이다.
이처럼 풀어야 할 문제가 산더미처럼 쌓인 임실지역으로의 항공대대 이전으로 전주 에코시티 사업도 표류하자, 전주시는 임실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을 천명하는 강수를 두면서 현 난국을 타개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주민 민원 등으로 인해 꿈적하지 않던 항공대대 이전 사업과 교도소 이전 사업이 방향을 틀거나 가시화될 조짐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