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6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북한의 진정성과 실천의지를 전제로 이벤트성이 아닌 실질적이고 내실있는 남북대화를 진행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힘에 따라 북측의 대응 여하에 따라 남북대화가 급진전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북한이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진정성과 실천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남측이 이미 제안한 남북 당국간 회담에 우선 응할 것을 요청했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에서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놓은데 대해 차분하고 신중한 기조를 유지하지만, 남북대화 흐름을 끌고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주문은 미국이 새해 벽두 대북 추가제재를 발표하는 등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북한의 진정성을 가늠키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북한이 신년사에서 남북간 대화와 교류에 진전된 뜻을 밝힌 것은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광복 70주년이자 집권 3년차를 맞는 올해가 남북대화 및 통일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는 적기이고, 역사적 당위성을 가진 시대적 과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신년사에 화답하는 메시지를 내놓은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단순히 대화를 위한 대화가 아니라 상호 신뢰축적에 기반을 둔 실질적인 논의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강하게 전달한 셈이다.
우리 측이 제안한 제2차 고위급 접촉 또는 통일준비위 차원의 대화에 대해 북한이 응하는 것을 시작으로 남북대화의 본격적 물꼬가 트일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 등 남북대화 의제를 포괄적이고 넓은 범위로 제시했다.
핵과 미사일 등 남북간 긴장을 유발하고 평화정착을 방해하는 요소들과 이산가족 상봉이나 금강산관광사업, DMZ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사업 등에 구체적 사업을 놓고 대화를 나누자는 것으로 이러한 대화를 통해 대북봉쇄조치인 5·24조치의 해제까지 논의할 수 있다는 제안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