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중단된 주택건축물 '도심속 흉물'

전주 등 5개 시군 24동 / 허가뒤 20년 지난 곳도 / 업체부도·자금부족 탓 / 범죄 장소로 악용 우려

▲ 도내 공사 중단된 주택건축물이 5개 시군에 7개 24동으로 나타난 가운데 공사현장이 도심 속 흉물로 전락해 행정기관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사진은 2008년 9월에 공사가 중단된 전주 중화산동 공동주택 현장. 추성수 기자

전북지역 내 장기간 공사가 중단된 주택 건축물이 ‘도심 속 흉뮬’로 전락했지만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아 행정기관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공사 장기 중단 주택 건축물은 전주·익산·정읍·김제·완주 등 5개 시군에 모두 7개(24개 동)로 건축허가가 난 지 20년이 지난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택 건축물의 공사 중단 원인은 업체 부도(5)가 가장 많았고 자금 부족(1)과 소송(1)도 공사 중단 원인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지난 2005년 7월 건축허가를 받은 전주 중화산동 1가 10층 규모(1동)의 공동주택이 공정 10% 상태에서 2008년 9월 공사가 중단됐으며, 익산은 2000년 11월 허가받은 송학동 15층 아파트(1동)가 공정 5% 단계에서 1994년 6월 공사가 중단됐다.

 

또 1996년 7월 허가 받은 익산시 여산면 두여리의 15층 아파트(7동)는 공정 50%에서 2000년 5월 공사가 중단됐다.

 

정읍은 1997년 1월 허가를 받은 북면 한교리 15층 아파트(6동)가 공정 30%에서 2002년 5월 공사가 중단됐고, 1999년 3월 허가 받은 용계동 15층 임대주택(5동)이 고작 공정 3%에서 2001년 10월 공사가 중단된채 아직까지 방치돼 있다.

 

2005년 12월 허가를 받은 김제시 하동 15층 공동주택(3동)도 공정 60%에서 2005년 12월 공사가 중단됐고, 1995년 1월 허가 받은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14층 공동주택(1동)도 공정 70%에서 2008년 3월 공사가 중단된 채 방치돼 있다.

 

이들 공사가 중단된 주택 건축물들은 지역 내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함은 물론, 범죄 및 청소년 탈선 장소로 악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행정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북도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공사 장기중단 현장을 파악해 빠르면 2016년까지 대책 마련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도에서 정비계획 예산을 책정해 공사 중단 건축물의 재활용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그러나 매입금액이 너무 커 현실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건축물에 대해서는 주기적으로 안전관리를 시행해 사고 예방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