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재정지원 우선협상자 대상자 선정이 다음달 13일로 미루어지면서 서남대 인수전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서남대 임시이사회가 지난 20일 제안서를 제출한 4곳 중 예수병원과 명지병원 2곳으로 대상을 압축하면서 각각 보완 자료를 요구한 것과 관련, 양 기관 모두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대책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사회는 예수병원에 대해 의과대학 인증평가 통과 문제를, 명지병원에 대해 재정부담 여력을 각각 문제 삼아 보완을 요구했다.
이사회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양 기관은 모두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예수병원 측은 “89명의 임상의학교수들이 이미 2013년부터 서남대 의과대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으며, 의사 합격률도 최우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인증 심사에 필요한 의사 수도 현행 규정을 초과하고 있으며, 지금이라도 대거 확대할 능력을 갖고 있어 의과대학 인증평가 통과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명지병원 측 역시 재정문제 보완을 요구한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명지의료재단의 부채가 비록 1400억원이지만, 담보자산만 3000억원이어서 재정문제는 물론 대학지원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양 측은 자신들에게 지적된 문제들이 오히려 상대방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예수병원은 “명지병원이 현재 의대생 교육이 전무한 상태여서 2016년으로 예정된 인증평가 부분에서도 문제가 될 것이다”고 했고, 명지병원은 예수병원의 투자여력에 의구심을 던졌다.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에서 어떤 곳에 중점을 둬야 할 지에 대해 두 기관이 바라보는 방향 또한 엇갈리고 있다. 예수병원 측은 이번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이 재정기여자를 모집하는 것인 만큼 재정상황에 문제가 있는 기관은 의당 제척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명지병원 측은 의과대학이 대학의 핵심인 상황에서 의과대학 인증평가에 문제가 있는 기관은 참여 자격조차 안 된다는 논리로 맞서 있다.
양 측의 이 같은 대립에는 선정위원회와 이사회에 대한 불신이 밑바닥에 깔려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예수병원은 선정위원회에 정작 의과대학 관계자들이 빠진 점 등을 문제삼았고, 명지병원은 예수병원 측근 인사들이 이사회에 포진된 점을 들어 이사회에 불신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양 기관은 이 같은 불만을 드러내면서도 인수 경쟁에 끝까지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