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문화원 집행부 비리의혹 논란

전 사무국장, 원장 공금횡령 진상규명 검찰에 탄원 / 당사자 "문화원 운영위해 필요한 곳에 썼다" 주장

정읍문화원 신임 원장 취임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금 횡령 등 현 집행부의 비리 의혹이 불거져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정읍문화원 전 사무국장 A씨는 3일 “현 원장 B씨가 지난 2009년 문화원 사업비의 일부를 떼어 비자금을 조성했고, 수년간 수천만원의 사업비를 유용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초 퇴직한 A씨는 B원장의 비리 의혹을 상세히 나열, 철저한 진상규명과 처벌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이날 정읍시장과 정읍시의회 의장, 전주지방검찰청 정읍지청장에게 우편으로 보냈다.

 

A씨는 탄원서에서 B원장이 지난 2007년부터 3년 동안 진행된 ‘정읍 칠보면 원촌문화·역사마을 가꾸기 사업’명목으로 지원 받은 국비 등 10억원 중 850만원을 떼어 비자금으로 조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B원장이 지난 2011년부터 최근까지 매년 문화원 사업비 중 1000만원 가량을 빼 이사들의 식비·회의비 등의 명목으로 유용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지난달 9일 B원장으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았다”며 “신임 원장 선거를 앞두고 현 집행부에 차기 원장은 ‘공금을 투명하게 집행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던 것이 원인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원장 등 일부 임원들이 사유화한 문화원의 체질 개선을 위해 참담한 심경으로 내부 비리를 밝힌다”며 “(나 자신도)수천만원의 사업비를 유용·횡령한 문화원장의 부정을 막지 못한 책임이 있는 만큼 법의 심판을 달게 받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의혹에 대해 A씨에 앞서 사무국장을 지낸 C씨도 “상당부분 맞는 말이다”고 밝혔다.

 

C씨는 “2009년 당시 문화원 간사가 B원장에게 비자금 명목으로 500만원을 전달했다”며 “최근 이사회에서 문제가 불거지자, 다시 되돌려 놓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B원장은 “공금을 착복한 것은 절대 아니다. 문화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곳에 썼을 뿐이다”고 주장했다.

 

B원장은 “비자금으로 쓰기 위한 것이 아니다. 아끼고 남은 돈을 문화원 행사 경비로 사용하기 위해 빼놓은 것이다”면서 “문화원 자체 수입이 워낙 적다보니 어쩔 수 없었다”고 항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