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김제 지평선산업단지 조성과정에서 관정에 대한 폐공기록 신고서가 허위로 조작됐다는 의혹이 제기돼 진상규명이 요구된다. (1월 20일자 8면·26일자 9면 보도)
김제시 및 김제시의회에 제출된 폐공현황 자료에 관정이 폐공됐다고 기록된 시점에 토지주가 지하수 관정을 이용해 농사는 물론 식수로 이용하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또한 지평선산업단지 조성 당시 지장물 등의 보상을 위해 조사됐던 물건조사 품목에 기재됐던 관정 수십여 개가 ‘지평선산업단지 편입관정 폐공현황’자료에는 누락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제 지평선산업단지는 사업비 2737억원을 들여 298만6426㎡를 공공과 민간이 출자해 공동으로 개발한 산업단지로 사업주체는 특수목적법인(SPC)인 G사이며 H건설 44%, W건설 26.4%, P건설 9.6%, 김제시 10%, 전북개발공사가 10%의 지분을 각각 갖고 있다. 시공·시행은 대표사인 H건설이, 감리는 D엔지니어링이 맡고 있다.
문제는 G사가 김제시와 김제시의회에 제출한 자료의 폐공 시기와 실제 토지주가 지하수 관정을 사용했던 시기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G사의 폐공 현황을 보면 거주자 A씨가 살던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 216번지의 경우 관정 2곳이 2011년 5월24일과 동년 6월3일에 시멘트 몰탈처리방식으로 폐공된 것으로 기재됐다.
그러나 A씨는 “2012년 5월까지 지하수 관정을 이용해 가족과 거주했으며, 당시는 폐공을 하지 않았다”고 밝혀 G사가 제출한 폐공 일지와 A씨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또한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 3-3번지 등 일원에서 식당을 운영하던 B씨의 토지에 설치된 관정 3곳은 2011년 5월25일 시멘트 몰탈처리 방식으로 폐공된 것으로 신고돼 있지만 B씨는 2013년 9월30일까지 지하수 관정을 이용해 식당을 운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주소지 외에도 상당수가 폐공기록 현황과 실제 원주민의 거주일자가 맞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김제시를 포함한 시행·시공, 감리는 한결같이 “적법하게 처리됐다”고 주장하고 있어 명확한 사실규명이 요구된다.
여기에 산업단지 조성 초기 진행된 실시설계에 기재된 지하수 관정 30여개가 현재의 폐공현황 자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실시설계에 나와 있는 관정들은 이미 법적 보상이 완료됐지만 정작 폐공 처리 기록은 없기 때문이다.
이에대해 김제시 관계자는 “시공사에서 제출한 자료를 살펴봤지만 문제점을 찾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또 시공사 관계자는 “문제가 없지만 의혹이 제기된 만큼 해당 지번에 대해 확인 작업을 해보겠다”며 “일부 지번의 경우 원형지 보존구간으로 지정돼 가옥만 철거하고 내부에 있는 지하수 정관은 폐공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