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영진위는 기존 예술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과 다양성영화 개봉지원 사업을 통폐합해 매년 26편의 영화를 30개 스크린에서 1∼2일간 상영하도록 하는 한국 예술영화 좌석점유율 지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네트워크는 성명에서 “이는 독립·예술영화의 유통 환경을 개선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상영이 보장되는 스크린 30개는 작년 집계 기준 전국 스크린 2천281개의 1.3%에 불과해 유통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지원 사업에서 배제되면 심할 경우 개봉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며 “지원을 받더라도 정해진 날짜에 상영하도록 강제해 자율적인 배급 사업 추진을 저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네트워크는 “현재 영진위의 모습에서 공정 거래에 대한 고민이나 영화 문화 생태계에 대한 고민은 찾아볼 수 없다”며 “오히려 과도한 정책 개입으로 시장의 자율성을 훼손하고 혼란만 가중하고 있을 뿐”이라고 비난했다.
네트워크는 “영진위는 시장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지원 정책 개편을 멈추고 좀 더 공정하고 영화 문화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들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며 “시장에서 약자일 수밖에 없는 독립영화 배급사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한국 영화 시장의 건전성을 높이고 나아가 한국 영화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하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