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여파로 사교육도 양극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통계청과 함께 실시한 ‘2014 사교육비·의식 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하했다.
주목할 부분은 소득수준별 사교육비 지출 규모다. 해당 분석 결과는 가구당 월평균 소득 규모를 ‘100만원 미만’부터 ‘700만원 이상’까지 8개 급간으로 나누고 있는데,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700만원 이상’과 ‘600~700만원’ 구간에 속하는 가구만 사교육비 지출이 늘었다.
월평균 소득이 6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사교육비 지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미만’ 가구의 작년 월평균 사교육비는 6만6000원에 불과한 데 비해 ‘700만원 이상’ 가구는 42만8000원으로 격차가 36만2000원에 달했다. 이는 2013년의 34만7000원에 비해서도 1만5000원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전북 지역의 사교육비 총 규모는 2013년에 비해 1% 증가한 5312억원이었고,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8만3000원으로 2013년에 비해 4.3% 증가했다. 이 같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증가율은 전국 최고 수준이다. 반면에 월평균 사교육 참여율은 59.4%로 2013년에 비해 0.5%p 감소했다. 사교육에 참여하는 인원은 줄어들었는데 지출 규모, 특히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늘어난 것은 그만큼 사교육이 양극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같은 내용에 대해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은 논평을 내고 “소득수준별 사교육비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어서 교육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단체는 특히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4만2000원으로 사교육비 조사 이래 최대치였던 2009년 명목 사교육비와 같아졌다”면서 “정부는 소비자 물가지수에 근거하여 실질 사교육비를 확인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