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당 부실 운영 '도마 위'

회장 독단운영 놓고 파열음에 폐쇄 위기도 / 일부 운영비 더 받으려 회원 편법 모집까지

일부 경로당의 부실 운영 사례가 속속 도마위에 오르면서 자치단체가 체계적인 지원과 함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전주지역의 일부 경로당이 회원 모집 과정에서 이중등록·부정등록 등 각종 부정을 저지르고, 회장이 독단적으로 경로당을 운영한다는 민원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이같은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는 전주시 완산구의 A경로당은 폐쇄 위기에 놓여있다.

 

2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A경로당 회원들이 해당 경로당 B회장의 보조금 유용 의혹과 함께 독단적인 운영에 대해 조사해달라는 내용의 민원을 완산구청에 제기했다.

 

민원을 낸 C씨는 “B회장이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것도 모자라 회원들에게 수차례에 걸쳐 가입비 및 운영비를 요구해왔다”면서 “총무나 감사를 세우지 않은 채 보조금을 사용하고 마음대로 회원을 제명 처리하는 등 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성토했다.

 

C씨는 “B회장의 부실하고 독단적인 경로당 운영으로 인해 한 때 40명 가까이 되던 회원 중 대다수가 떠났다”며 “경로당을 사유화한 B회장의 처벌과 함께 시설 폐쇄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점진적으로 해당 경로당 시설을 폐쇄하기 위한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B회장이 조사에 성실히 응하지 않고 있고, 현재는 이용자도 거의 없어 부득이하게 폐쇄를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경로당이 폐쇄되면 예전 회원들은 인근 다른 경로당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B회장은 “보조금 유용과 독단적인 운영 등 일부에서 제기된 의혹들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면서 “전주시가 시설 폐쇄를 강행하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일부 경로당의 부실 운영 의혹이 끊이지 않으면서 회원간 불협화음도 커지고 있다. 일부 경로당이 해가 바뀌면 회원 모집에 경쟁적으로 나서면서 회원 이중등록·부정등록 등 각종 부작용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월 전주의 한 경로당은 회원 모집 경쟁에 나서면서 아파트 주민들에게 가입을 독촉하고,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까지 끌어들여 말썽을 빚기도 했다.

 

전주지역 경로당 관계자는 “회원 수에 따라 간식비 등 전체 운영비가 다르게 책정된다. 이 때문에 일부 경로당에서는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회원으로 등록하기도 한다”면서 “이런 철새 회원과 기존 회원들간의 마찰이 빈번하다”고 귀뜸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경로당에 대한 자치단체의 관리·감독 강화와 기능 개선을 주문했다.

 

서양열 전주 금암노인복지관장은 “획일적인 지원보다는 모범 경로당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등 지원에 차등을 둬야 한다”면서 “경로당 기능도 기존 여가중심에서 돌봄중심으로 전환, 실질적인 노인복지를 실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