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 구성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 지역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편차 2대1 결정과 중앙 선거관리위원회의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제안 등으로 지역구 의석 감소가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국회는 지난 3일 본회의를 열고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여야는 지도부를 중심으로 특위에서 활동할 당내 의원들을 임명하기 위한 숙고에 들어갔다. 특위는 여야 각각 10명씩 20명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특위는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헌재의 현행 선거구 획정 위헌 결정에 따른 선거구 조정과 선거구제 개편 문제 등을 다루게 된다. 또 최근 중앙선관위가 국회에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 접목을 통해 비례대표 의원을 2배가량 늘리고, 지역구 의원을 줄이는 내용의 정치관계법 개정 내용도 검토한다.
문제는 특위가 검토하게 될 모든 안에서 전북 정치권의 위상이 축소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헌재의 현행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편차(3대1) 위헌 결정으로 전북은 적게는 1석에서 많게는 2석까지 의석이 줄어들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여기에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을 골자로 한 선관위 안도 광주·전남·전북·제주가 34석인데, 비례대표 11~12석을 제외한 뒤 인구비례에 따라 지역구 의석을 배분하면 전북은 6~7석 정도로 줄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가운데 지역 정치권에서는 일단 선거구 획정 등에서 자유로운 전주와 익산, 군산지역 의원들이 정개특위 위원에 포함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개특위 손에 의원들의 목숨이 걸려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선거구 조정 대상 지역 의원들은 특위에서 제외키로 했기 때문에 전주·익산·군산 의원들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며 “특위에 들어가기 위한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 전북은 지역의 상황을 끝까지 관철시킬 뚝심 있는 사람이 포함돼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