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주산)마을에 ‘동학농민혁명 홍보관’(이하 홍보관)이 조성되어 10일 개관식을 가졌다.
시에 따르면 대뫼마을은 혁명의 시발점이었던 사발통문거사계획을 결의했던 지역으로 마을내 녹두회관을 리모델링(remodeling)했다.
개관식에는 김생기 정읍시장과 우천규 정읍시의회 의장, 이복형,고경윤,황혜숙 시의원을 비롯해 관내 기관단체장및 마을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해 축하했다.
녹두회관 2층(1층 경로당)에 마련된 혁명 홍보관은 모두 132㎡ 규모로 사발통문과 사발통문거사계획에 참여했던 송대화 동학대접주 임명장과 혁명 관련 사진등 다수의 자료들이 전시돼 있다.
또 대뫼마을 역사와 사발통문 참여자들의 인적사항 등을 도표와 사진 등으로 정리, 전시하고 있다.
특히 홍보관내에 숙식할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동학유적지 탐방객들에게 개방된다.
김생기 시장은 “향후 많은 탐방객들이 찾아와 동학농민혁명의 참 뜻을 이해하는 역사공간으로 자리매김될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사발통문거사계획은 전봉준,최경선,김도삼 등 동학농민혁명 주요 지도자와 고부의 동학교도와 농민 20명이 1893년 11월 대뫼마을 송두호 집에 모여서 결의했다.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료인 사발통문은 “났네 났어 난리가 났어. 에이 참 잘되었지. 그냥 이대로 지나서야 백성이 한 사람이라도 어디 남아 있겠냐”와 함께 △고부성을 격파하고 군수 조병갑을 목 베어 죽일 것 △군기창과 화약고를 점령할 것 △군수에게 아첨하여 백성을 괴롭힌 탐관오리를 엄하게 징벌할 것 △전주성을 함락하고 경사(서울)로 직행할 것 등 4개 항의 결의사항을 담고 있다.
사발통문이 다시 역사의 전면에 나서게 된 것은 1968년이었고, 후손들이 뜻있는 분들의 후원을 받아 마을 입구에 ‘동학혁명모의탑’을 건립하면서 대뫼마을은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