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연장'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촉구

탈핵에너지전환 전북연대

▲ 탈핵에너지전환전북연대는 11일 전주 풍남동 새누리당 전북도당앞에서 ‘월성원전 수명연장 규탄 및 전북지역 방사능 방재계획 촉구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추성수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4년째를 맞은 11일, 도내 시민단체들이 참여한 ‘탈핵에너지전환 전북연대’가 새누리당 전북도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수명이 연장된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및 전북지역 방사능 방재예산 마련을 촉구했다. 탈핵에너지전환 전북연대에는 전북환경운동연합과 전북녹색연합·민주노총 전북본부 등 도내 20여개 시민사회 단체가 참여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후쿠시마 사고 이후 많은 나라들은 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며 “한국은 후쿠시마로부터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한 채 원자력 발전 중심의 에너지정책을 고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후쿠시마 사고 당시 원전에서 250km나 떨어진 도쿄에서 기준치인 8000베크렐이 넘는 2만 7000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되었다” 며 “월성원전으로부터 군산·부안까지의 거리가 약 250km 이기 때문에 전북까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 방사능 방재대책 및 방재예산 부족으로 방사능재난 대응시설 등을 마련하지 못해 전북도민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표출했다.

 

이들은 “전북은 원전 소재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자원시설세는 0원에 불과하다” 며 “도민의 안전을 위해 전북도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나서 안전관련 예산을 확보하고 방사능 관련 안전 법률을 법제화해야 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아울러 “방재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 확보와 도민들의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며 “행정과 도민이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민관 공동의 ‘(가칭)전북원자력안전협의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