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삼천동 일대에 추진되는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조성 사업과 관련, 해당지역 주민들이 법정기구인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을 위한 마을별 대표 선출 절차에 들어갔지만 또다시 논란을 예고했다. 양분된 2개의 주민단체가 각각 별도로 주민대표를 선출해서 전주시에 명단을 제출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1일 전주 삼천동 장동·삼산·안산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주민지원협의체 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9일 3개 마을 합동 주민총회를 열어 마을별로 각 3명씩, 모두 9명의 주민대표를 선출했다.
이와 함께 해당 지역의 또다른 주민조직인 ‘전주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정상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8일과 29일, 두 차례에 걸친 주민총회를 통해 6명의 주민대표를 선출한 데 이어 2일 삼산마을에서 총회를 열어 나머지 주민대표 3명을 뽑을 계획이다.
이들 주민조직은 조만간 각자 뽑은 9명씩의 주민대표 명단을 전주시에 제출할 예정이다.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과 같은 법 시행령에 따르면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기관은 해당 지역 시의원과 시의회에서 추천한 주민대표(전체의 50% 이상), 주민대표가 추천한 전문가 등 모두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주민지원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지난달 20일 마을별로 주민총회를 열어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주민지원협의체에 참여할 주민대표를 선출해서 통보해 줄 것을 해당 마을 통장에게 안내했다.
그동안 해당 지역 3개 마을 주민들이 별도의 단체를 조직, 대립하면서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에 난항을 겪어온 전례에 비춰 해당 주민들을 아우를 수 있는 대표 선출을 유도한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또다시 마을주민들이 서로 분열, 갈등을 빚고 있어 향후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에 진통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고문변호사 등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실질적으로 마을을 대표하는 주민대표를 선출한 진영의 마을대표에게 힘을 실어주거나 시의회와 협의, 독자적으로 주민대표를 선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양 진영에서 주민대표를 따로 선출한다면 전문가 자문을 받아 실질적으로 대표성을 지닌 주민대표를 가려내는 방안도 검토하겠다”며 “마을주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반영한 조직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