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이후 지난 1년간 가장 많이 회자된 단어는 ‘안전’이었지만, 전북지역은 안전사고에 여전히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의정부 아파트 화재, 영종대교 연쇄추돌사고, 장성 요양병원 화재와 같은 대형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이같은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된 위험 요소들이 도내 각지에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안개 때문에 106중 연쇄추돌사고가 발생한 영종대교와 비슷한 환경에 놓인 도내 교량에 대해서는 아직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았으며, 느슨한 건축규제로 피해가 커진 의정부 아파트 화재와 같은 다가구 주택이 전주시에만 1만7806동이 있다.
자치단체장들도 앞다퉈 안전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다른 지역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한 뒤 안전점검에 나서는 수준의 대응책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도내 자치단체의 재해방재 수준은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12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14개 시·군의 지역안전도 진단 평가 결과 익산시 등 도내 7개 자치단체가 10등급을 받았다. 또 전주시와 장수군이 9등급, 남원시와 부안군이 7등급을 받았으며, 군산시·무주군·고창군이 6등급으로 분류됐다. 지역안전도는 1~10등급으로 분류되며, 가장 안전도가 떨어지는 지역에 10등급이 매겨진다.
전북지역 자치단체들의 안전도 평가가 낮게 나온 이유는 재해예방 기능이 허술하기 때문이다. 도내 14개 시·군은 국민안전처의 ‘방재성능 평가’에서 평균 0.443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순창군 0.180으로 방재성능이 가장 떨어졌으며, 익산시 0.240, 임실군·김제시 0.250 순으로 나타났다. 방재성능 평가 만점은 ‘1.000’이다.
도내 자치단체의 재해예방 능력은 바닥을 기고 있는 반면, 위험지역 숫자는 전국 평균을 웃돈다.
전북지역에 있는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관리대상은 모두 1120곳으로 이중 D등급은 33개소이며, 이는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3번째로 많은 수치다. 재해위험 저수지로 지정된 곳도 28곳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많다.
지난 2012년 1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전북지역에서 상하수도 시설에 의한 7건의 지반침하 사고(싱크홀)가 발생하는 등 싱크홀 사고에 대한 우려는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올해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사업을 신청한 도내 자치단체는 전주·군산·익산·남원·김제·고창 등 6개 시·군에 불과하다.
지난 10년간 전북지역에 시간당 30㎜ 이상 집중호우가 내린 적은 650여 차례 있었으며, 진안 동향관측소에는 한 시간에 242㎜의 비가 내리기도 했다. 사후약방문식 처방으로는 더 이상 도민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