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인근 집단 암 발병 원인규명을" 이미숙 전주시의원 주장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전주소각장) 인근 마을 주민들에게 집단적으로 암이 발생하고, 다수가 호흡기 및 심장질환 등을 앓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전주시의회 이미숙 의원은 13일 제318회 임시회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모두 34가구에 50여명이 살고 있는 전주소각장 인근 A마을의 주민 8명이 암에 걸려 최근 1∼2년 사이 4명이 사망하고 4명은 투병 중이다”면서 “또 다수의 주민들이 호흡기와 심장질환 등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어 “암환자 집단 발병은 우연이라고 보기에는 석연찮은 점이 많다”면서 “시는 주민 집단 암발병에 대한 원인규명과 함께 주민건강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주시 상림동에 위치한 전주소각장은 지난 2006년 9월 준공돼 하루 최대 400톤의 쓰레기를 소각 처리하고 있다.

 

이 의원은 집단 암 발병의 원인으로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지목했다.

 

지난 2010년 광주광역시의 ‘상무소각장 주변 지역 환경상 영향조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소각장으로부터 800m∼1300m 떨어진 지점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다이옥신이 검출됐고, A마을은 전주소각장에서 750m 지점에 위치해 다이옥신의 낙하지점이라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이 의원은 “전주시가 지난 2010년과 2013년 실시한 소각장 환경상 영향조사에는 토양검사가 빠졌고, 다이옥신과 중금속 측정 항목도 빠져있다”면서 “시는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혈중 다이옥신 농도 조사와 건강영향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소각장에 굴뚝 배출가스 자동측정시스템을 구축, 환경부 기준에 따라 대기오염 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 관리하고 있다”면서 “소각장의 다이옥신은 ‘잔류성 유기오염 물질 관리법’에 따라 매년 2차례씩 별도로 조사하고 그 결과도 공개한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또 “주민들의 암 발병과 소각장의 연계성을 입증하기는 어렵다”면서 “3년 단위로 실시하는 환경상 영향조사에서 주민들이 요구할 경우 조사지점을 확대하고 조사항목도 법정기준에서 더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