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궁지에 몰렸던 새누리당은 21일 이완구 총리가 사의를 표명하자 최악의 상황은 면하게 됐다고 안도하면 서 눈앞에 닥친 4·29 재보궐선거 전열 재정비에 나섰다.
'성완종 파문'으로 재보선 전패 위기감까지 나돌 정도였지만 박근혜 대통령 귀국 전에 이 총리가 전격 사의를 밝히면서 악화일로였던 여론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발판은 마련했다는 게 당의 판단이다.
일각에선 남은 8일간 '막판 대반전'에 대한 기대감도 나왔다.
당내에선 이 총리가 끝내 사퇴를 거부하거나 박 대통령이 귀국하는 27일까지 거취를 결정하지 못하면 이번 재보선은 '백약이 무효'일 정도로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팽배했다.
하지만 이 총리의 사퇴가 조기에 기정사실화되면서 향후 재보선 선거일까지 8일간 그동안 등돌린 여론을 되돌리고 전열을 재정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게 됐다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다른 악재가 또 불거지지 않는 한 여당에 대한 지지도가 더 빠지기보단 다소 조정을 받거나 회복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총리의 사퇴가 당 지도부에게는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이 총리까지 사퇴한 마당에 이번 재보선에 패배할 경우 당 지도부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의식한 듯 김무성 대표는 이날 인천 서·강화을 재보선 지원 유세 도중 기자들과 만나 "(이 총리가) 공인으로서 우리 국가를 위해 그런 어려운 결단을 내려준것에 대해 좋은 평가가 나오리라 생각한다"면서도 이 총리 사퇴를 "선거하고 연결시키고 싶은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또 총리 사의 표명에 고무된 야당이 이번 재보선에서 성완종 파문을 고리로 한 정권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울 것에 대비해 '지역일꾼론'으로 김빼기를 시도하기도 했다.
김 대표가 '새줌마(새누리+아줌마)' 콘셉트로 친서민·민생 행보를 이어가고 이 번 선거는 지역일꾼을 뽑는 선거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도 이런 맥락으로 읽힌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성완종 파문' 공세에도 대비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노무현 정부 시절 이례적으로 두 차례 사면을 받은 점을 부각시켜 '성완종 사태 야당 책임론'을 집중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 권성동 의원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성 전 회장의 두 차례 사면을 언급, "성완종의 야권 로비설을 뒷받침한다"며 "당시 사면이 청와대 주도인지, 법무부 의견인지 규명해야 한다"고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노무현 정부의 청와대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을 지냈던 점을 겨냥했다.
김도읍 의원도 "노무현 대통령 때 특사나 가석방 대상자를 청와대에서 선정해 놓고 거기에 맞춰 사면을 단행한 게 아닌가"라며 "이석기 전 통진당 의원의 가석방 때 민정수석이었던 문재인 대표, 성 전 회장 2차 사면 때 민정수석이었던 새정치연합 전해철 의원이 공개적으로 배경을 설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뿐만아니라 새누리당은 그동안 이 총리에 화력을 집중했던 야당이 이병기 청와 대 비서실장 등 성완종 리스트에 등장한 나머지 7명의 여권 인사들에 공격을 집중할것에 대비, 철저한 검찰 수사를 촉구하는 등 선제 대응도 취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선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의혹에 대해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신속한 검찰 수사와 현행 상설특검법에 따른 특별검사제 도입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