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상실 우려' 전주권 광역쓰레기매립장] 대형 폐기물 계속 쌓이는데 선별·처리작업은 '개점휴업'

소각로 노후화 등 이유 폐목재·고철·가전제품 뒤섞인 채 수개월 방치

▲ 완주군 이서면에 위치한 전주권 광역쓰레기매립장에 폐목재와 침대 매트리스, 종이류 등 불에 잘 타는 폐기물들이 수북이 쌓여 있다.

폐목재와 침대 매트리스·냉장고 등 대형 폐기물들이 제 때 처리되지 않고 수개월째 전주권 광역쓰레기매립장 일대에 적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대형 폐기물들이 점차 매립장을 차지하는 면적이 늘게 되면 향후 매립장으로서의 기능이나 전주지역 대형폐기물 수거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인근 주민들은 해당 대형 폐기물의 소각 및 민간위탁 처리 등을 전주시에 요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전주시는 예산 부족과 소각로 노후화 등을 이유로 이 같은 주민들의 요구에 적절한 처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4일 전주권 광역쓰레기매립장(완주군 이서면).

 

폐목재와 침대 매트리스, 종이류 등 불에 잘 타는 각종 폐기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이 밖에도 고철과 의자, 냉장고·세탁기 등 폐 가전제품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이 와중에도 각종 폐기물을 실은 쓰레기 수거차량들이 줄지어 매립장 안으로 들어섰다.

 

인근 주민들은 지난해 말부터 이런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다며 전주시에 대형 폐기물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요구했지만 매번 묵살됐다고 입을 모았다.

 

주민 A씨는 “소각용 폐기물이 장시간 매립장에 적재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전주시에 이달 말까지 처리할 것을 요구했지만 아직까지 별 소식이 없다”고 말했다.

 

주민 B씨는 “전주소각장 소각로가 자주 고장나는 등 노후화가 심해 폐기물 소각 처리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고철과 가전제품 등 비소각용의 경우 민간업체 선정이 늦어지면서 대형폐기물 적재량이 갈수록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인근에 위치한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소각장) 소각로 2기 중 1기가 가동 중단돼 폐기물 소각 처리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주지역에서 수거된 대형 폐기물은 광역쓰레기매립장으로 옮겨진 후 선별작업을 거쳐 매립용과 소각용, 전문업체 처리용으로 나눠진다.

 

전주지역에서 하루 배출되는 대형 폐기물 30여t 중 15t은 소각용이지만, 이달 중순부터 소각로 1기를 보수하면서 폐기물 처리가 지연되고 있다는 게 전주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한 민간 전문업체에 위탁·처리하는 비소각용 폐기물의 경우 올 예산을 이미 소진, 오는 6월께 관련 예산을 확보해 처리하겠다는 게 전주시의 설명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북혁신도시 주민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전주지역에서 나오는 대형 폐기물이 늘고 있지만, 전주소각장의 일일 소각 처리용량은 제자리”라며 “관련 예산을 확보해 조기에 대형폐기물들이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형폐기물 적재로 인해 화재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기성 원광대 소방행정학과 교수는 “관련 법상 대형 폐기물은 품목별로 분류,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에서 보관해야 한다”면서 “(현장 사진을 보면)각종 폐기물들이 혼재돼 있고, 일정한 간격도 두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어 “자칫 불이라도 나면 크게 번질 우려가 있다”면서 “불에 잘 타는 가연성 폐기물을 관리할 때는 법적 적재 면적·높이·간격을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