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따르면 지평선사랑방은 매월 둘째주(또는 셋째주)에 강제적인 소집이나 회의 형식을 탈피하고 기존 마을 회의나 모임 등에 이·통장과 공무원이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등 마을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평선사랑방에서는 주로 마을 현안에 대한 공유와 발전방향 논의, 독거노인 등 소외계층에 대한 건강이나 생활실태 논의, 시민들이 알아야 할 주요 시책 홍보 등이 이뤄지며, 관내 739개 마을에 각각 공무원 1명씩이 지정돼 있다.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처음으로 실시한 4월 중 지평선사랑방에서는 생활안전 위협요소 등 시민 불편사항 305건이 접수됐으며, 시민들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자는 “주민들이 지평선사랑방을 통해 지평선산단 준공과 관련하여 기업유치 및 일자리 창출 등에 기대를 하고, 민간육종연구단지 착공에 대해서는 농가의 소득향상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공무원들은 소통행정과 현장행정을 적극 실천할 계획이며, 운영과정에서 나온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과 불편사항을 시정에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