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0대 총선에서 전북지역 전주와 군산 익산 3개 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농촌지역의 선거구가 현재의 5개에서 3개로 무려 2개나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농도(農道)인 전북 지역에서도 농촌지역을 대변할 수 있는 국회의원의 숫자가 이처럼 갈수록 감소하면 가뜩이나 심각한 농업 현장의 어려움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도내에서는 유일하게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이하 정개특위)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 김윤덕 의원(전주 완산갑)은 14일 도의회에서 간담회를 갖고 “정치개혁특위 협상 과정에서 전북 몫을 지키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현재로선 1석 정도 줄어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북에서 1석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은 그동안에서 꾸준히 나돈 것으로 새로운 내용은 아니며, 어느 지역에서 어떻게 감소하느냐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주 군산 익산 3개 지역은 현재의 6석에서 7석으로 1석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우선, 전주시와 익산시의 의석수는 현재와 차이가 없을 전망이다. 덕진구의 인구가 28만8000명으로 인구상한선을 넘어서고 있지만, 덕진구는 법상의 자치단체가 아니기 때문에 선거구 분구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덕진구에서 상한선을 초과하는 일부 인구가 완산갑이나 완산을 선거구에 편입되며, 이 경우 완산과 덕진이라는 명칭보다는 전주갑, 전주을, 전주병이라는 명칭이 사용될 전망이다.
군산시는 3월말 현재 인구수가 27만8278명으로 인구 상한선을 초과하고 있어 분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산시처럼 인구 상한선을 초과하는 지역은 전국적으로 15곳이다.
문제는 전주 군산 익산을 제외한 나머지 농촌지역이다. 무진장·임실과 남원·순창, 고창·부안, 정읍 선거구가 현재로서는 모두 하한선 미달에 해당된다.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2개 지역구가 감소돼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어떻게 분리되고 합쳐질지는 감을 잡기 어렵다. 생활권과 맞지 않는 김제·완주 선거구를 분리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는 등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선거구 상하한 인구수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인구수 상·하한선은 전체 인구를 선거구로 나눈 것으로 선거구수가 줄면 상하한선이 동시에 올라가고 증가하면 동시에 내려간다. 지난해 9월 인구와 현재의 246개 선거구를 기준으로하면 상한선은 27만7966명, 하한선은 13만8984명이다.
김윤덕 의원은 “농촌의 목소리를 최대한 대변할 수 있도록 선거구획정위에 정당 추천인사의 참여를 줄기차게 주장해왔고, 여당과 야당이 각각 4명씩을 추천하고 선관위에서 1명 등 모두 9명으로 선거구획정위를 구성키로 합의했다”며 “정당 추천인을 통해 농어촌의 대표성을 최대한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