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에서 임실읍으로 옮길 예정인 35사단 군인아파트가 읍내권이 아닌 영내권으로 신축이 확정돼 주민들의 강한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임실로 이전하는 군인가족들도 대부분 읍내권에 아파트 신축을 희망했으나 전주시와 국방부가 이를 외면한 것으로 알려져 갈등이 예상된다.
최근 임실읍은 군부대 이전 후 식당과 자영업 등이 성업 중에 있고 한산했던 상업지역도 건축 붐이 이는 등 활발한 경제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때문에 임실군은 도시계획 재정비의 시급성을 전북도에 요청하고 상업과 주거지역 확대를 위해 주민의 여론수렴도 마친 상태다.
하지만 올해 임실읍으로 이전 예정인 113세대의 군인아파트가 읍내권이 아닌 영내지역으로 확정, 지역발전을 염원하는 군민의 희망에 찬물을 끼얹고 있는 것.
또 오는 2018년 전주에서 임실로 이전 예정인 107세대의 군인아파트도 영내권 신축이 예정돼 국방부와 전주시에 대한 군민의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이같은 사실에 임실군상공인연합회와 사회단체에서는 군인아파트의 읍내권 변경을 전주시와 국방부에 요청했으나 번번이 거부된 것으로 알려졌다.
임실군도 군인아파트를 영내 밖으로 신축할 경우 기반시설 제공은 물론 다양한 지원책도 제시했지만 묵살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인가족들도 각종 문화활동과 자녀의 학교생활, 장보기 등 불편이 예상된다며 읍내권 신축을 요망했으나 이 역시 외면된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에 따르면, 기부대 양여방식에 따라 결정권을 쥔 전주시가 임실군에 항공대 이전을 요청했으나 이를 거부한 데 따른 보복설을 주장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더욱이 군부대 시설물은 국방·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방부가 자체적으로 결정, 해당 지자체에는 이같은 내용을 통보만 되기 때문에 임실군은 제지할 권한도 배제된 상태다.
송병섭 임실군애향운동본부장은“전주시와 국방부의 탁상행정을 강력히 경고한다”며“퇴보적인 사고방식이 계속되면 대대적인 규탄운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