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장이 내놓을 ‘김상곤표 쇄신’안에 지역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쇄신을 위해서는 결국 사람을 바꿔야 하는데 김 위원장이 대대적인 물갈이를 통한 쇄신 방안을 내놓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이럴 경우 전북지역 현역 의원들의 20대 총선 생존 여부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단 김 위원장은 지난 24일 혁신위원장 수락기자회견에서 호남물갈이와 중진용퇴론 등 당 안팎에서 제기됐던 인적쇄신안에 즉답을 피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지금 드릴 말씀이 없다”, “나중에 말하겠다”, “여러 의견을 모두 들어 검토하고 논의하겠다”며 신중모드를 이어갔다.
그러면서 “새정치연합이 현재의 상황에서 벗어나 국민이 바라는 정당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서 결심했다. 민주적인 혁신안을 만들어 실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당의 혁신을 위해 손에 피를 묻힐 각오가 돼 있음을 내비쳤다.
혁신위원회는 6월까지 공천과 인사쇄신, 당무혁신 등 당 쇄신 관련 현안들을 포괄적으로 논의한다. 이 중 인적쇄신의 폭과 내용이 혁신위원회 업무의 핵심이다. 김 위원장이 내놓을 쇄신안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현역 의원들의 저항을 뚫고 고강도 쇄신의 칼을 휘두를 수 있겠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김 위원장이 내놓을 쇄신안에 대해 현역 의원들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힘 빼기에 나설 가능성을 높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치권은 김 위원장이 제1야당의 쇄신을 위해 강력한 ‘메스’를 댈 것이라는 관측에 힘을 더 실어주는 모양새다. 진보진영 교육계 내에서 ‘혁신의 대부’로 통해온 김 위원장이 그동안 무상급식 실시와 혁신학교 확대 등 파격적인 개혁 행보를 보여 와서다.
또 현실 정치를 잘 모르고 있다는 점도 김 위원장이 강력한 인적쇄신안을 추진하는데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현실 정치를 잘 모른다는 것은 그만큼 고려해야할 입장이 적다는 것을 반증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김 위원장은 조국 서울대 교수가 제안한 호남 40% 물갈이, 도덕적·법적 하자 있는 인사들의 출마 배제, 4선 이상 중진 용퇴 등 파격적 쇄신안을 모두 수용하거나, 더 강력한 안을 내놓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일 김 위원장이 정치권 일부의 전망처럼 강력한 쇄신안을 내놓고, 지도부가 힘을 실어줄 경우 전북을 비롯한 호남지역은 20대 총선에서의 대대적인 물갈이 칼날을 피해가기 어려울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에도 다양한 인적쇄신안이 나왔었다. 그런데 현재보다 상황이 급박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쇄신안은 강도가 매우 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인적쇄신을 위해서는 사람을 바꿔야 하는데, 물갈이가 호남에만 포커스가 맞춰지는 것은 적절치 못한 것 같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쇄신안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