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면이 바다인 우리는 3167개의 섬이 있으며 이중 401개가 사람이 거주하는 유인도서이다. 현재 500여명 이상이 거주하는 섬이 6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지역의 경우 초고령화사회 진입한 지역으로 심혈관계 질환등 골든타임을 놓치면 치료가 어려운 질병의 유병률이 높은 지역중 하나이다.
응급환자 생존률 높일 정책대안 절실
응급의료역할이 너무나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이나 섬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응급의료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도서지역의 응급의료시스템 전반에 대한 점검을 통해 응급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이를 통해 응급환자의 생존률을 높일수 있는 정책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의료서비스를 민간에서 공급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의료기관이 도서지역에 병원을 개원하기란 쉽지 않다.
현재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을 통해 도서지역에도 보건소와 보건진료소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다양한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 장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는 도서·산간지역의 응급환자 후송을 위해 닥터헬기 4대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낮 시간에만 운항이 가능하고 운항거리도 100km 이내로 제한되어 있어 응급환자 발생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육지로부터 100km 이상 떨어져 있는 도서지역의 경우 응급환자 발생 시 해경헬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야간이나 기상악화시 이 또한 이용할 수 없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심장정지가 발생했을 때 심폐소생술을 받고 생존하는 확률은 4.8%에 불과하다고 한다. 반면 미국의 경우 10.6%로 한국의 두 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이 0%인 지방자치단체가 60여곳에 이른다는 결과는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병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도서지역은 응급의료시스템이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 국민들이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응급환자 생존여부가 결정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응급의료의 역할이며, 의료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길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 36조 3항은 “모든 국민은 보건에 관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2015년 국민소득 3만불 돌파를 앞둔 상황에서 과연 우리정부가 국민의 건강과 보건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국민 생명 관련 사업 정부 지원 시급
모든 일이 그렇지만 국민의 안전 및 생명과 관련한 사안은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자세로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 정부는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의 일들이 비일비재하여 왔다. 국민들이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이유 또한 이러한 일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라 본다.
정부의 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예산의 뒷받침이 있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도서지역의 응급의료시스템구축 또한 국가의 재정적지원 없이는 해결될 수 없는 사안이다.
국민의 생명과 관련된 일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