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지역주민과 복지시설 종사자들로 구성된 동 복지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주민 밀착형 동네복지 구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전주시는 마을과 주민 중심의 복지생태계 조성을 위한 동네복지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동네복지는 김승수 전주시장이 올 시무식에서 제시한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으로, 현행 시·구청 등 상급기관 중심의 복지정책에서 벗어나 동 중심의 마을재생을 통한 주거와 쾌적한 삶터 조성·사회적경제 활성화·마을 공유경제 등이 통합된 형태로 운영된다.
시는 이같은 동네복지 실현을 위해 주민 및 복지시설 종사자 등으로 구성된 동 복지위원회를 구성, 각 동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동네복지를 추진한다.
동 복지위원회는 우선 홀로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을 수립한다.
또 후원금품과 재능기부 등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복지자원 발굴에도 힘을 모은다.
전주시는 오는 7월 ‘전주시 동 복지위원회(가칭)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오는 10월부터 6개 동을 대상으로 이 같은 동네복지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해당 동에는 담당 공무원, 방문간호사, 사례관리사 등 복지플래너를 도입해 수시로 지역 복지 소외계층을 찾아 애로사항을 수렴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전주시는 지역 사정에 밝은 통장을 복지도우미로 삼아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주형 마을공동체인 ‘온두레’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장난감·남는 방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공유경제 프로그램을 개발, 복지공동체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 밖에도 쾌적한 삶터 조성을 위한 해피하우스 센터, 저소득층 주거·임대주택 보증금 지원, 공원 살피미를 통한 마을공원 가꾸기 등의 사업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동네복지가 안착하면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함께 사람이 핵심인 민선 6기 시정목표 달성에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동네복지를 통해 행정기관 주도의 일률적인 복지행정에서 벗어나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구현하고 주민 스스로 이웃을 보살필 수 있는 주민 주도의 복지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