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방지 및 방역 대응을 위해 정부가 종합대응 TF를 구축 운영하고, 추가 확산방지를 위해 확진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의료기관간에 공유하게 된다. (관련기사 4면)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3일 청와대에서 열린 메르스 대응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에서 도출된 결과다.
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과 박상근 대한병원협회장,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과장 등 전문가 3인은 추가적으로 몇몇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종합대응 TF(컨트롤타워)를 구축 운영키로 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 메르스 확진환자가 30명에 이르게 된 원인은 의료기관내 감염으로 지역 사회에 전파된 것이 아니므로 확진환자, 접촉자 및 의심환자들에 대해 물샐틈없이 끝까지 추적해 촘촘히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대책방향이라는데 의견을 함께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 3인은 “현 메르스 상황에 대해 아직 무차별 지역사회 전파가 아니라 의료기관내 감염이므로 필요 이상으로 동요하거나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했다.
추가적 확산방지를 위해 확진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의료기관간 공유하는 조치를 취하는 한편, 가장 많은 확진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에서 초기 감염확산 고리를 끊지 못한 것이 가장 뼈아픈 부분이므로 동 사례에 대한 정확한 경위 등 사례분석 결과를 타 의료기관과 공유해 유사 대응실패가 없도록 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한 의심환자, 확진환자에 대한 통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지역별 거점중심병원을 지정해 운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의료기관 내원후 확진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일단 확진되면 이들을 더 철저히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민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의 투명한 공개에 있으므로 가능한 한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즉시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메르스 대응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에서“첫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이후 2주 동안 감염자가 늘어나고 있고, 두 분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해 많은 국민이 불안해하고 계신다”며 “더이상 확산이 안되도록 만전을 기해야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