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미술대전의 심사 과정을 개선하는 안이 모색되고 있다. 최근 치러진 제47회 전북미술대전에서 입상작이 취소되는 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동안 제기됐던 심사의 공정성 시비에 대한 의혹을 해소하고 신뢰도 제고를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4일 (사)한국미술협회 전북도지회(전북미술협회)에 따르면 오는 10일 이후 미술대전 운영위원회를 통해 개선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미술대전 운영위를 소집해 심사위원과 출품자간 학연·지연 등을 차단하는 심사기피제를 도입하고 외부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방향이다. 더불어 심사위원들의 동반 심사가 아닌 시간을 정해 단독 심사로 점수를 주고 주최 측이 집계하는 방식도 고려되고 있다.
강신동 전북미술협회장은 “대한민국 미술대전의 경우 모두 3차례의 심사에서 각각 위원을 다르게 구성해 심사하는데 이를 참고 하겠다”며 “1차는 특선, 입선, 낙선만 분류하고 이후 공개 심사를 하는 방안 등 여러 안을 놓고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북미술협회는 지난달 25일 제47회 전북미술대전의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공예부문 대상 수상작이 지난 2012년 입상작과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돼 10일까지 수상작의 소명을 요구한 상태다. 미술대전 운영위원회는 입상을 취하할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2012년 입상작과 올해 출품작의 형태가 유사하고 차이가 미세해 소명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더불어 서양화 부문에서 대회 관계자가 자신의 아들의 수상을 위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견에 해당 작가가 이를 시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받기도 했다. 미술대전 운영위원 21명 가운데 15명이 2차례의 투표를 거쳐 이 작가에게 초대작가 7년 자격 정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그동안 미술대전은 신인의 등용문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젊은 작가를 배출하는데 인색했고 수상 시비가 지속됐다는 지적이다. 일부 심사위원간 답합과 사적인 교류로 수상이 결정된다는 후문이 끊이질 않았다. 징계 조치까지 이어진 올해 서양화 부문의 심사 문제도 이러한 알력 대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귀띔이다. 또한 일부 부문은 1명이 여러 명을 지도해 출품한 결과 비슷한 경향을 지닌 작품이 눈에 띄었다는 게 전업 작가들의 전언이다.
이에 미술을 전공하는 신진 작가들이 출품을 꺼려하는 풍토가 지속되고 있다.
도내 미술전공자 A씨(33)는 “미술대전이 이미 아마추어의 경연장이 됐고, 공정성이 낮다는 인식으로 권위를 잃은지 오래다”며 “여기를 통하지 않고도 작품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 만큼 젊은 작가들의 호응이 낮다”고 말했다.
전북미술협회 관계자는 “심사제도를 개선해 출품작의 품질을 올리는 계기로 삼고, 순수미술 부문은 젊은 작가의 참여를 높혀 실험적인 작품 위주로 상을 줘야 한다”고 밝혔다.
전북미술협회는 지난 25일 모두 10개 부문으로 나눠 1129명의 응모자 가운데 입상자 668명을 가렸다. 한국화 부문에서 종합 대상을 조소, 판화, 공예, 수채화 등 8개 부문에서 대상작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