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종합경기장 재개발 방향을 놓고 전북도와 전주시가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전주시는 국비를 확보해 놓은 전시·컨벤션센터 건립과 관련, 행정절차 이행에 전북도가 대승적인 차원에서 협력해줄 것을 바라고 있지만, 도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전북도는 시의 종합경기장 대체시설 건립 계획안에 대해서도 실행력과 담보력 측면에서 의문부호를 달고 있어 양측이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지난 5일 개최된 전북도와 전주시·전북도의회·전주시의회의 4자간 실무협의는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고, 향후 일정도 잡지 못했다.
△전주시
전주시는 종합경기장 부지 내 전시·컨벤션센터 건립에 필요한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 총사업비 승인, 입찰공고, 설계적격심의 및 평가, 낙찰자 결정 및 계약 등 제반 행정절차를 올해 안에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이와 관련,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 및 건축심의의 경우 전북도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라고 있다.
전시·컨벤션센터의 경우 지방재정투·융자심사를 완료, 지난해 이미 국비 70억원을 확보했고 시에서도 올 예산에 대응투자비 70억원(시비)을 편성해놓았다.
특히 올해 안에 관련 행정절차를 끝내지 못하면 지난해 확보한 국비를 모두 반납해야 할 처지에 놓여 있다.
또한 시는 도에서 문제를 삼고 있는 종합경기장 대체시설 건립에 따른 국비 확보 여부에 대해서도 ‘국민체육진흥기금·지역발전특별회계’등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백순기 시 생태도시국장은 “전시·컨벤션센터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행정절차 이행에 도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북도
전북도는 전주시와 지난 2005년 체결한 ‘전라북도 도유재산 양여 계약서’에 따라 대체시설을 포함한 ‘원칙대로의 개발’을 주장해왔다.
하지만 전주시는 민선 6기 들어 ‘컨벤션센터를 먼저 지은 뒤, 향후 대체시설을 건립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하지만 도가 전면개발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자, 전주시는 컨벤션센터 완공에 맞춰 대체시설 건립을 추진하겠다고 입장을 선회했다.
하지만 도는 4자간 실무협의에서 전주시가 내놓은 종합경기장 대체시설 계획안에 대해 강한 불신을 갖고 있다. 그간 전주시의 대체시설 건립 시기나 규모 등이 수차례 수정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도는 대체시설 건립에 필요한 전주시의 국비 조달 계획, 경기장 관람석 규모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또한 도는 전시·컨벤션센터의 입지 및 수익성 측면에 대해서도 강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