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초동대처가 미흡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을 막지 못했다는 국민적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문형표 보건복지부장관이 고개를 숙였다.
8일 국회에서 열린 메르스 관련 긴급현안질문은 문 장관의 청문회를 방불케 했다. 여야를 불문하고 정부의 ‘뒷북’ 정보공개와 허술한 방역체계, 초기대응 실패를 강하게 질타했다.
의사 출신의 새누리당 문정림 의원은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고 포문을 연 뒤 “질병관리본부는 대응 매뉴얼과 확진검사 시스템을 갖추고도 의심 환자에게조차도 검사를 거부하며 확진을 지체했으니 메르스 대비가 얼마나 행정 위주로 이뤄졌는지 알 수 있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박인숙 의원은 “컨트롤타워가 보이지 않았고 투명하게 정보공개를 하지 않아 초기 진화의 골든타임을 여러 번 놓쳤다”며 메르스 사태를 ‘인재’로 규정했다. 이어 전날 정부의 병원 명단 공개에 대해 “혼란과 공포에 떠는 국민에게 명단만 툭 던져놓고 알아서 해석하고 판단하라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 의원은 “메르스 발병 날 메르스 확산을 막아야 할 주무부처 장관은 중요하지도 않은 해외 출장 중이었고, 질병관리본부장은 워크숍을 했는데 한심하다. 대통령의 리더십 부재로 ‘제2의 세월호’를 보는 것 같다”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 조정하고 범정부적으로 대응하라”고 요구했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메르스 발생 병원 명단 공개를 미룬 데 대해 “재벌병원을 비호하려고 (정부가) 국민은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문 장관은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국민께 송구스럽다. 환자를 늦게 파악하고, 관리 범위를 협소하게 짠 점 등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었다”고 인정하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또 “저희들은 지금 메르스가 확산되는 정점에 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오늘을 기점으로 온 힘을 다해 잠재우는 모습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