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장애인 콜택시를 시 시설관리공단에 위탁·운영하기로 한 가운데, 기존 콜택시 운전원에 대한 고용승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주시 장애인 콜택시 민간위탁 철회를 위한 공동투쟁본부는 9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 콜택시 운전원의 고용승계를 거부한 전주시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전주시가 장애인 콜택시 사업만 직영화하고 운전원들의 고용 및 장애인 이동권 문제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있다”면서 “장애인 콜택시는 특별운송 차량이기 때문에 자가용이나 택시와는 달리 전문성이 필요하다. 기존 운전원의 고용승계를 통해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5일 전주시의회는 본회의를 열고 집행부에서 제출한 ‘장애인 콜택시 시 시설관리공단 위탁·운영 동의안’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기존 (사)전라북도 곰두리봉사대에서 운영해온 장애인 콜택시 사업이 오는 8월 1일부터 전주시 시설관리공단에 위탁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곰두리봉사대에서 장애인 콜택시 사업을 운영하면서 불거진 노사 갈등과 장애인 이용자들의 만족도 저하를 해소하기 위해 모든 운전원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