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세계사적 의의 부각을"

세계기록유산 등재 해법 모색 심포지엄 열려 / "연구결과물 국제적 확산 위한 시스템 필요"

‘동학농민혁명 기록은 세계기록문화유산등재 기록물로서 충분한 가치와 중요성이 있다. 세계사적 의의와 중요성을 어떻게 부각시키느냐가 관건이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해법을 찾는 심포지엄이 10일 서울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주최로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은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세계사적 가치,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대상과 범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5·18기록물의 사례, 동학농민혁명기록물 세계기록유산등재 추진전략 등 4개 테마로 주제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김양식 충북발전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동학농민혁명은 오백년간 유지되던 조선왕조체제를 붕괴시키고 이후 한국이 민주사회로 나아가는 수원지 역할을 했다”며, “당시 사건이 지향했던 사회 다양성, 평등, 공동체, 정의사회 등의 가치체계는 세계가 기억해야 할 자산이 아닐 수 없다”고 세계인의 집단 기록유산으로서 자리매김될 만한 충분한 자격과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 박사는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등재 신청 기록유산의 명칭과 해당 기록물의 범위를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즉,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에 동학 관련 기록물도 포함시켜 일괄 등재를 추진할 것인지, 아니면 동학과 1894년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을 구분할 것인지 조속한 결론과 그에 기초한 등재 추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동학농민혁명사 연구는 방대하지만, 주로 사건 내용을 둘러싼 것들이며 기록물 자체에 대한 조사·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아울러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세계사적 비교 연구를 통해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의와 중요성이 좀더 부각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수집 및 편찬 방향과 관련, 왕현종 연세대 교수(역사문화학)는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자료 발굴과 수집 정리 분류 등의 기본적인 체계도 마련하지 못했으며, 각종 소장 기관과 자료 연관 체계를 만들고 대중적인 활용을 도모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를 위해 기초적인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에 대한 자료체계와 정리방식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종철 전 광주민주화운동기록유산등재추진단장은 “세계기록유산 심사는 현지에 대한 실사가 없고 신청서에 작성된 내용만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광주 추진 당시) 신청서를 얼마나 잘 구성하느냐가 관건이었다”며, “특히 세계사적 의의 부분이 가장 중요했다”고 소개했다. 한 나라의 역사적 의의라는 영역을 넘어 세계 역사와 문화에 얼마나 기여했느냐가 심사위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라고 본 것이다.

 

그는 또 관련 기록물의 영문 번역과 국가기념일 제정, 5·18 국립묘지 등의 사실을 알렸고, 광주시장이 국무총리에게 국가의 이름으로 유네스코에 보증하여 줄 것을 촉구하는 등의 노력도 들려줬다.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은 “국내에서 세계유산 등재 추진이 봇물을 이루고 있어 국내에서 통과되는 것이 더 어려운 현실이다”고 보았다. 동학 기록물은 후발주자며, 인지도도 낮은 상황이어서 국민들에게 그 당위성을 알리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 나선 허권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은 △사료가치의 학술적 객관성·우수성·파급성을 규명하고 △등재를 둘러싼 이해갈등이 표출되지 않게 갈등관리가 바람직하며 △시민들이 참여하는 시스템 구축 △기록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연구 결과물이 국제적으로 확산될 수 있게 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이날 학술대회의 내용을 기반으로 신청서를 작성한 뒤, 추진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신청내용을 의결해 올 8월 말까지 문화재청에 세계기록유산으로 신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