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클링타운 주민협의체 구성 '깜깜'

전주시, 2개 조직 간담회 계획 / 市 주민선거 제안 입장차 여전

전주시가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조성 사업과 관련, ‘주민지원협의체’구성을 위한 주민대표 선출안을 내놓은 지 두달이 지났지만 2개로 나뉜 주민조직간에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여전히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14일 전주시에 따르면 김승수 시장은 빠른 시일 내에 2개 주민조직(전주종합리사이클링타운 주민지원협의체 추진위원회·전주종합리사이클링타운 정상추진위원회) 대표와의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김 시장은 지난 4월 수립한 전주시의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을 위한 주민선거안에 대해 두 주민조직이 적극 참여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시는 애초 지난달 중순 삼천동 장동·삼산·안산마을 등 해당 지역 3개 마을별로 같은 날 주민총회를 열어 각 3명씩, 모두 9명의 주민대표를 선출할 계획이었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달 1일 두 주민조직 대표를 만나 세대별 1표씩을 부여하는 시의 주민선거안에 대한 협조와 이해를 당부했다.

 

하지만 두 주민조직이 각기 다른 입장을 내면서 시와 두 주민조직간 3자 회동은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다시 3자 회동을 열어 두 주민조직간의 합의점을 도출, 빠른 시일내에 주민선거를 통해 주민보상 방안을 논의할 주민지원협의체를 꾸린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두 주민조직간의 상반된 입장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에 난항이 거듭될 것으로 전망된다.

 

진재석 전주종합리사이클링타운 주민지원협의체 추진위원장은 “굳이 주민선거를 한다면 법적으로도 타당한 가구별(주택별) 1표씩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며 전주시 주민선거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반면 유병철 전주종합리사이클링타운 정상추진위원장은 “전체 주민의 의사를 아우를 수 있는 만 19세 이상 투표 방식이 무산된 것은 아쉽다”면서도 “전주시의 주민선거안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