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참패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의 분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북 정치권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중앙당이 구성원들의 내홍으로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을 점차 잃어가면서 반 새정치연합 정서를 내세운 지역 내 정치세력이 속속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는 곳 생존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꾸린 새정치연합은 ‘유능한 경제정당’을 내세우며 국민 속으로 파고들었다. 20% 대에 머물던 정당 지지율이 30%를 돌파하는 등 순항했다. 그러나 4곳에서 치러진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전패하면서 당내 내홍이 본격화 됐다.
재·보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당 대표가 사퇴해야 한다는 비노 진영의 요구는 공천 지분 나누기로 비화되면서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았다. 그나마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을 위원장으로 하는 혁신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내홍은 잠시 수그러드는 듯 했다.
하지만 이도 잠시. 김경협 사무부총장이 지나 12일 트위터에 “(김대중 노무현) 두 대통령의 정신과 가치를 계승하는 정당에서 비노는 당원 자격이 없다. 새누리당의 세작이다”는 글을 게재하면서 당내 갈등이 다시 폭발했다. 비노 진영에서는 연일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뿐만 아니라 같은 날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간 혁신위원회가 첫 혁신과제로 ‘정체성 논의’를 정한 것과 관련해 비노 진영에서 반발하고 나서는 등 당내 내홍이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당내 내홍이 지속되면서 전북 정치권의 낯빛을 어둡게 하고 있다.
구성원들이 하나로 뭉치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는 동안 반 새정치연합 정서를 내세운 세력들이 전북을 호시탐탐 넘보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는 노동당·정의당·국민모임 등 진보세력이 세력 결집에 나섰고, 전북에서는 4·29 재보선을 통해 광주에서 깃발을 꽂은 천정배 의원이 전북에서 세력화를 위한 행보에 나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낙마한 정동영 전 장관이 내년 총선에 전주에 출마해 무소속 후보들과 연대체를 구성, 새정치연합과 대립각을 세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전북 정치권 일부에서는 급기야 내년 총선에서 ‘반타작도 어렵다’는 목소리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당 안팎에서 내홍은 계속되고, 대표는 이를 불식시킬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외부세력이 준동할 수 있는 상황만을 키우고 있는 것 같아 답답하다”며 “빠른 시간 안에 당내 구성원들이 하나로 뭉치고, 당이 정상화 되지 못한다면 내년 총선에서 전북은 큰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