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개통 예정인 수서고속철도(KTX) 운영 노선에 전라선이 포함돼 있지 않아 저속철·고요금 등으로 개통 전부터 반발을 빚었던 호남고속철도에 이어 또 다른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16일 국회 김윤덕 의원(전주 완산갑)에 따르면 이날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공개된 ‘수서KTX 철도사업면허증’의 사업구간에는 수서~부산, 수서~목포만 명시돼 있을 뿐 전라선은 포함돼 있지 않았다. 이 면허증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수서고속철도 주식회사에 발급한 것이다.
이 대로라면 내년에 수서KTX가 개통되더라도 전주와 남원·여수 등 전라선 구간의 열차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은 수서역에서 KTX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호남KTX 개통 당시 이뤄지지 못한 전라선KTX 증편을 수서KTX를 이용해 이뤄내려던 정치권의 계획도 물거품이 된다.
앞서 정부는 호남KTX 서대전 경유 계획으로 전북과 광주·전남에서 ‘저속철’ 논란이 일자 서대전을 경유를 하지 않는 대신 증편 계획도 취소했다. 이에 따라 지역 정치권은 열차 이용객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수서KTX를 활용해 전라선 열차를 증편하는 계획을 대안으로 삼았었다.
이로 인해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수서KTX의 사업범위 재조정 요구 목소리가 강하게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수서KTX에 전라선이 포함돼 있지 않아 수서KTX가 지나지 않는 지역의 철도 이용객들의 상대적 불편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사회기반시설인 철도는 공공성이 담보돼야 하고, 공공성은 보편적 접근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호남KTX 개통이후 전라선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수서KTX 사업에 전라선을 포함해야 한다”고 국토교통부 장관을 압박했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 유일호 장관은 “충분한 수요가 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는데, 당시에는 전라선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금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충분히 검토하고, 전라선 포함여부를 코레일과 협의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