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치권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협치’를 통한 지역 현안 해결에 적극 나서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전북 정치권의 이 같은 행보는 내부 구성원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 중앙당과는 차별화된 것으로, 지역 사회에 정치 불신을 해소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21일 전북 정치권에 따르면 현역 의원들은 총선을 앞두고 동료 간 ‘분열’은 ‘총선패배’로 직결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협치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정쟁을 벌이기보다 협력하는 자세로 지역 현안을 해결해 낙후된 지역의 발전을 견인하고, 민심을 얻어 내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전북 정치권의 생각은 지역 현안 해결 과정에서 잘 투영되고 있다. 국무조정실 산하에 새만금추진지원단을 설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새만금특별법 개정안의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통과는 전북 정치권의 협치가 주요했던 대표적 사례다.
지역구와 상임위를 떠나 전북이라는 큰 틀에서 전주권 의원이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고, 지역민의 숙원 해결이라는 데 방점을 찍은 전북 의원들이 각자 맡은바 위치에서 최선을 다했기에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단 설치의 9부 능선을 넘을 수 있었다는 평가다.
뿐만 아니라 대형 SOC사업 종료로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전북 정치권이 19대 국회 들어 4년 연속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을 배출한 것도 지역 정치권의 협치에 따른 성과라는 것이 정치권의 설명이다.
올해 국회 예결위원 선정의 경우 총선을 앞둔 해인만큼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 전북을 제외한 일부 지역에서는 동료 의원 간 파열음이 나기도 했다. 그러나 전북 정치권은 이춘석 원내수석 부대표 등을 중심으로 전북 몫을 확보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패배 이후 당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호남에서의 민심이반이 심상치 않다”면서 “이런 때에 개인의 이익을 생각하는 것은 공멸을 의미한다. 협치 만이 위기에 빠진 당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당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하나 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당의 심장부인 전북에서는 도민들에게 믿음과 신뢰를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안 해결을 위해 지역 정치권이 너나 할 것 없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