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 거부권' 여당 분열 가속 양상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놓고 / 친박·비박, 계파갈등 증폭

▲ 유 원내대표의 거취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청와대의 불만이 폭발하면서 유 원내대표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가 된 가운데 28일 국회의사당 본관 앞‘새누리당 원내대표’팻말이 적힌 주차공간이 비어 있다. 연합뉴스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파동으로 인해 새누리당 친박계와 비박계간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거부권 정국의 중심에 잇는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와 관련, 그의 사퇴를 요구하는 친박(친 박근혜)과 그를 재신임하고 현 지도체제를 이끌고 가려는 비박이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거부권 행사 직후 지난 25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재신임을 받는 듯 했으나 이후 청와대의 강경의지가 확인되면서 친박계는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강행하는 분위기다.

 

친박계는 29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부터 본격적 공세를 펼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계 측에서는 대통령이 유 원내대표를 파트너로서 인정하지 못하고 공언한 상황에서 겠다는데 현 상황대로 그대로 갈수는 없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지난 26일 친박계의 좌장격인 서청원 최고위원과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 정갑윤 국회부의장 등 친박계 핵심 인사들이 모여 유 원내대표의 사퇴와 당 운영 정상화 방안 등을 논의했던 것으로 알려져 이날 회동이 친반계 결집의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전당대회에서 패하면서 세력이 위축됐던 친박계가 이번 일을 계기로 대통령의 의중을 등에 업고 판 자체를 뒤엎으려는 의도가 있다는 관측이다.

 

멀리는 내년 총선때 공천권 행사와도 맞물리는 대폭이다.

 

지난해 7·14 전당대회에서 5명의 선출직 가운데 김무성 대표를 비롯해 비박계가 3명 당선됐고, 당연직 최고위원인 유승민 원내대표와 원유철 정책위의장마저 비박계로 분류된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친박계가 밀었던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크게 이겼고, 유승민 원내대표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당선됐다. 정치권에서는 안팎에서는 그동안 존립 기반 자체가 흔들리던 친박계가 투톱 중 한 축인 유 원내대표 축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해 지도체제를 흔들려는 의도가 다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당직에 포진한 비박계로서는 사태 확산을 막기 위해 최대한 말과 행동을 아끼는 분위기다.

 

친박계가 집단행동에 들어가며 수위를 높이자 비박계에서도 불쾌감을 드러내며 임계치를 벗어나면 반격할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친반계가 단합하면 할수록 비박계 또한 일대 승부를 걸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