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무대는 정악합주 평조회상 중 타령과 춘향가 중 이별가, 흥보가 중 흥보 박타는 대목, 수궁가 중 별주부 세상 나가는 대목~고고천변, 적벽가 중 군사설움타령, 심청가 중 심봉사 눈뜨는 대목 순으로 펼쳐진다.
작·편곡은 김하진 남원시립국악단 상임단원이 맡았고, 김윤선(남원시립국악단 상임단원)·김대일(국립민속구각원 창극단 부수석 단원)·김민영(전주시립국악단 판소리 수석) 씨가 판소리를 들려준다. 타악은 강은진(전주시립국악단 타악수석)씨와 유인황(전주시립국악단 상임단원)씨가, 해금은 전주해금연주단 단원이 연주한다.
자문을 맡고 있는 심인택 교수(우석대학교 국악과)는 “해금은 음계를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다양한 테크닉을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중들에게 매력적인 악기로 인식되고 있다” 며 “이번 공연에서는 판소리를 뒷받침하는 반주의 개념이 아닌, 판소리와 함께 아우러지는 중주의 개념으로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