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비주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최재성 의원을 사무총장에 임명하면서 촉발된 내부 계파갈등이 수습 국면에 접어든 모습이다. 인선을 고사하던 비주류 인사들이 차례로 당무에 복귀하면서 늦게나마 전열이 정비되고 있다.
29일 국회에서 열린 새정치연합 최고위원회의에는 최 사무총장, 안규백 전략홍보본부장, 홍종학 디지털소통본부장, 박광온 비서실장을 비롯해 그동안 회의에 나오지 않던 비주류 김관영 수석사무부총장 등 신임 당직자들이 모두 참석했다. 이들의 당무 복귀는 박근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법 개정안이 폐기 위기에 처하고,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가 관심사로 떠오른 상황에서 ‘분열’은 피해야 한다는 당내 압박이 거세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런 가운데 아직 최고위에 복귀하지 않고 있는 이종걸 원내대표와 유승희 최고의원도 당내 분란을 길게 끄는 모양새는 좋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복귀 시점을 두고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국회법 거부권 행사로 당내 갈등이 잠시 소강상태일 뿐 언제든지 재 점화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김관영 의원이 사무부총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공석이 된 조직부총장은 선거에서 전국의 조직을 관리하는 요직이다. 인선을 앞두고 또 다시 갈등을 발생할 우려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