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교사들이 ‘교육 비리 척결’이나 ‘보편적 교육복지’ 등의 정책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학교 업무 경감 대책’ 및 ‘사교육 경감 대책’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전북지부가 김승환 교육감 2기 출범 1주년을 맞이해 도내 초·중·고 교사 373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1일부터 19일까지 질문지를 이용해 설문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90.8%(326명)에 달하는 응답자가 김 교육감이 그간 추진한 ‘교육 비리 척결’ 정책에 대해 잘 이뤄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무상급식·학습준비물 지원 등을 포함한 ‘보편적 교육복지’ 정책에 대한 긍정평가가 86.4%(310명), ‘학교폭력 대처’ 부문에 대한 긍정평가가 81.6%(293명)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공문을 줄이고 행정 보조 인력을 지원하는 등의 ‘학교 업무 경감’ 분야에 대해서는 긍정평가보다 부정평가가 많았다.
응답자의 51.8%(187명)가 해당 정책이 별로 또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응답했고, 매우 또는 대체로 잘 이뤄졌다고 보는 응답은 46%에 불과했다. 특히 응답자 중 중학교 교사들은 무려 65.8%(77명)가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향후 역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8개 보기 중 2개 복수응답)에서도 무려 70.4%(197명)가 ‘학교 업무 경감’을 꼽아, 도내 교사들이 과중한 행정 업무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서 두 번째로 많았던 응답은 ‘학교 민주주의 및 학생자치 활성화’, 세 번째로 많았던 응답은 ‘교육 비리 척결’이었으나 응답률은 20%대였다.
김 교육감이 추진하는 정책에 대한 공감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등교시간 늦추기’(80.7%), ‘자사고 지정 취소’(81.6%), ‘참된 학력 신장’(74.4%), ‘농어촌 소규모 학교 활성화’(81.6%) 등 4가지 정책 모두 고르게 높은 긍정응답을 기록했다.
이밖에 누리과정 예산 문제에 관해서는 응답한 교사의 94.5%가 중앙정부에 예산 부담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고, 자사고 지정 취소 권한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83.3%가 교육감 권한이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교육감 직선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5.5%가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전북도교육청 산하 전북교육정책연구소도 1일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도민 응답자의 67.3%가 ‘교육정책 사업 추진방향에 공감한다’고 응답했고, ‘참된 학력 추진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은 73.4%였다.
반면 도민들은 여전히 김 교육감과 도교육청의 소통 문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7.7%가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소통 부족’을, 10%가 ‘도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소통 문제’를 교육행정 방해요소로 꼽아, 소통 관련 지적이 27.7%에 달했다.
이는 ‘예산 부족’(24.2%), ‘관료주의적 행정’(16.8%), ‘교육부의 지나친 간섭’(16%) 등을 제치고 ‘도민들이 생각하는 가장 큰 방해요소’로 꼽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