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레저 관광단지' 국비 확보 난항

280억 투입 전북도 공약사업 9개 시·군 적극적인데 문체부 "4대강 완료"·해수부 "사례 없다" 난색

민선 6기 공약 사업인 전북도 ‘수상레저 관광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일선 시·군의 호응이 좋지만 국비 확보가 여의치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수상레저 관광단지와 관련해 지자체에 지원한 사례가 없고, 문화체육관광부는 4대강 사업이 완료되면서 지원 근거가 사라졌다는 이유로 국비 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전북도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0년까지 내륙권 수변레저 관광 거점을 육성하기 위해 수상레저 관광단지 1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국비 140억원, 도비 42억원, 시·군비 98억원 등 총 280억원을 투입해 카누·카약·보트 등 수상레저 체험장 및 선착장, 오토캠핑장, 해양레포츠 센터, 카누·카약 마을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전북발전연구원에서는 ‘전북 수변공간 관광 자원화 방안’ 관련 정책 과제를 수행하고 있고, 이날 정책 과제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지난 2월 전주시·익산시·진안군·장수군·고창군 등을 제외한 9개 시·군에서 참여 의향을 밝혔고, 3월 희망 시·군에 대한 1차 조사를 완료했다.

 

현재는 김제 능제저수지와 완주군 구이저수지, 임실군 옥정호, 순창군 섬진강 등 4개 시·군이 수상레저 관광단지 조성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는 사업비 140억원을 해양수산부 중기재정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지난 2월 열린 해양수산부 해양수산 시·도 정책협의회에서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해양수산부는 현재까지 지자체에 지원 사례가 없다는 점을 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재정이 열악한 도와 시·군에서 자체 사업비를 편성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실행력을 갖춘 민간 사업자를 확보하는 것도 만만찮아 국비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조만간 대상 시·군을 선정하고, 기본 계획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라며 “일부 시·군의 민간 사업자들이 수상레저 관광단지 조성 사업에 관심을 보이지만, 아직은 관련 부처 설득 작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