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공중보건의가 줄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앞으로 인구 50만 이상 도시 보건소에는 공중보건의를 배치하지 않기로하면서 전주시가 대체 의료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일 전북도와 전주시보건소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3월 인구 50만명이 넘는 지역 보건소에 공중보건의를 배치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공중보건의사 제도 운영지침’을 발표했다. 이는 매년 공중보건의수가 줄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올해 현재 전북지역의 공중보건의는 120명으로, 지난해 144명에 비해 24명(16.7%)이 줄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전주시(올 4월 기준 인구 65만명) 보건소에는 공중보건의가 신규 배치되지 않는다.
시 보건소는 공중보건의 미배치로 인한 공공의료 공백을 줄이기 위해 지난 3월 말 기간제 의사 구인 공고(2명 모집)를 냈지만 단 한 명만이 지원했다. 현재 전주시보건소에는 공중보건의 4명이 배치돼 있다.
앞으로 1~2년이 지나면 이들 대부분의 복무기간이 만료된다. 이 때문에 공중보건의 대체인력 충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공중보건의 숫자가 줄어드는 이유는 의학전문대학원제도 도입과 여성 의사 증가 때문이다.
전주시 보건소 관계자는 “업무량에 비해 임금 수준은 동종업계 의사 임금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공중보건의 대체인력을 채용하더라도 임금을 자체 예산으로 충당해야 하는 탓에 재정여건상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보건소 진료의사의 경우 수당까지 합쳐 연간 6000~7000만원 수준의 급여를 받는다는 게 전주시의 설명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에 공중보건의 미배치 유예 및 개선을 건의했다”면서도 “공공의료 공백 최소화를 위해 전주시가 자구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