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연구개발특구 유치 확정

정부, 전국 다섯 번째로 지정 의결 / 전주·완주·정읍에 15.9㎢ 규모

▲ 13일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송하진 도지사, 김광수 도의장, 유성엽 국회의원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개발특구 전북 유치 확정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안봉주 기자

전북도가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연구개발특구를 유치하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13일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주(사업화 촉진지구) 9.9㎢를 비롯해 완주(융복합 소재부품 거점지구) 4.5㎢, 정읍(농생명 융합 거점지구) 1.5㎢ 등 모두 15.9㎢에 조성된다.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주, 완주, 정읍 등 18㎢에 조성될 계획이었으나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과다한 지정 면적의 축소’라는 권고 의견이 도출되면서 면적이 다소 줄어들었다.

 

사업화 촉진지구인 전주시는 지식재산센터, 기술이전센터 연계를 통한 창업·기술사업화·지식서비스 거점으로 조성된다. 농업과학·축산·식량·원예특작 등 농생명과학연구를 비롯한 탄소소재, 인쇄전자 융복합제품의 생산 기지 역할을 맡게 된다.

 

융복합 소재부품 거점지구인 완주군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완주테크노밸리 등을 중심으로 그래핀 등 융복합 소재 연구를 담당하게 된다.

 

농생명 융합 거점지구인 정읍시는 첨단과학산업단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등의 기반을 활용해 방사선융합기술(RFT)·생명공학(BT) 관련 연구, 네트워크 집적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연구개발특구는 국립·정부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이 연구개발을 통해 신기술을 창출하고, 공공연구 성과물을 사업화하는 지역이다.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세제 혜택은 물론 연구소기업 창업, 첨단기술기업 육성, 신기술 사업화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매년 기술 사업화를 위한 국비 100억 원이 지원된다.

 

지난 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시작으로 2011년 광주·대구연구개발특구, 2012년 부산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된 바 있다.

 

전북도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통해 농생명 융합산업·융복합 소재부품산업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창업을 유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연구기관의 기술 사업화를 지원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북본부를 출범하고, 산·학·연 교류의 장인 전북테크비즈센터(400억 원 규모)를 건립할 계획이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200만 전북도민의 지역 발전에 대한 열망과 자신감이 전북연구개발특구라는 쾌거를 만들어 냈다”며 “전통과 첨단 과학의 융합을 통해 정체된 지역 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