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운영 주체 논란

전북 국회의원들 "국책기관화해야" 주장

전북대가 운영하고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운영주체를 국가기관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도내 정치권에서 제기됐다.

 

14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전북도와 새정연 전북도지부의 정책협의회에서 전정희 의원(익산을)은 “대정부 질문을 통해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기능강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책연구기관화를 주장했으나 전북대 총장이 학교발전 차원이라며 반대하고 있어 (기능강화가) 지금까지 전혀 이뤄진 것이 없다”며 아쉬움을 표시한 뒤 “전북도가 내년 예산반영에 각별히 신경써달라”고 당부했다.

 

이춘석 의원(익산갑)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 건물을 지었지만 연구시설도 없고 인력이나 예산 등이 확보되지 않아 실적도 없다. 쓸데없이 에어커튼을 돌리느라 엄청난 예산만 쏟아붓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책임소재가 불분명해 예산확보가 어렵지만, 국립으로 바꾸면 얼마든지 예산을 따올 수 있으므로 지사와 총장이 만나서 담판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익산지역 의원들에 이어 농림수산위 소속 최규성 의원(김제·완주)과 보건복지위 김성주 의원(전주 덕진)도 논의에 가세했다.

 

최 의원은 “농림수산축산부에서 AI, 구제역 등 엄청난 예산을 투입할 수 있는데도, 교육부 소관인 대학 소속으로 되어 있다보니 예산지원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들고 “예산을 투입해서 효과를 거두는 것이 중요하며, 메르스 사태로 관심이 높아진 지금이 적기”라며 “지사가 총장과 담판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주 의원은 “지난해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예산을 반영하려고 했으나 운영주체가 전북대라는 이유로 예산을 반영하지 못했다. 이번에는 메르스 추경이기 때문에 R&D 예산이라도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AI와 구제역 등의 대응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당시에는 인간에 대한 부분이 취약했고, 교육부에서 설치했지만 내용적으로는 농림축산수산부와 겹치다보니 애로가 있는게 사실”이라며 “국회에서도 운영주체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전북대와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송하진 지사는 “우리지역에 이런 연구소가 있다는 것이 다행이며, 시기적으로도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전북대 총장과 만나서 그쪽 입장을 들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