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한빛원전 안전 확보하라"

호남권 광역단체, 공동건의문 발표키로 / 일부 검사 오류 확인…진상규명 등 요구

전북도, 전남도, 광주시가 영광 한빛원전의 잦은 고장·사고 발생과 관련해 안전성을 확보해 달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도지사, 전남도지사, 광주시장은 한빛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동 건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9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발표한 국내 원전 24기 점검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국내 원전 24기의 제어봉 구동장치 하우징(Housing, 외함)에 대한 용접 부위 검사를 한 결과 웨스팅하우스형 한빛원전 1·2기, 표준형 한빛원전 4·5·6기 등을 포함한 총 16기에서 일부 검사 오류가 확인됐다. 검사 기준에 따르면 하우징의 맞대기용접 부위를 검사해야 하지만, 이 부위 대신 나사 조임 후 밀봉 용접된 오메가 형태의 용접부를 검사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하우징은 원자로의 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을 에워싸고 있는 원통 형태의 외함을 뜻한다.

 

전북도, 전남도, 광주시는 공동 건의문을 통해 사고 예방과 국민의 불안 해소를 위해 이번 사태뿐만 아니라 그동안 발생한 원전 사고에 대한 진상 규명을 철저히 하고, 내용을 국민에게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원자력안전위의 독점적 안전 규제, 감시 체제에서 탈피해 지방정부도 원전 규제·감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방사성 폐기물 이동, 한빛원전 온배수 피해 보상, 원전 폐로 추진 과정에 시·도민의 의사를 반영해 달라고 요청했다. 부족한 방사능 방재 인프라를 지적하면서 시·도민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주장했다.

 

전북도는 “한빛원전 등 국내 원전의 잦은 사고로 인해 원전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한빛원전 노후화에 따른 도민들의 원전 사고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도에서도 공동 건의문 채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빛원전 2호기는 지난달 3일 발전기와 송전선로를 연결하는 차단기 이상으로 정지됐고, 앞서 지난 4월 16일에는 원자로 냉각재펌프(RCP) 전원차단기 제어카드 불량으로 한빛원전 3호기의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