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소규모 장애인 거주시설 늘린다

탈시설화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서 인프라 구축 논의 / 자립 희망자 복지시설서 체험홈 등으로 이주 추진

전주시가 자립을 희망하는 사회복지시설 거주 장애인을 순차적으로 이주시키기 위해 체험홈 등 소규모 거주시설을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시는 21일 전주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장애인 거주시설 관계자와 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욕구조사 및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탈시설화’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성공적인 자립을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 지원시스템 및 거주지원 인프라 구축, 지역사회와의 유기적 협력체계 마련 등의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참석자들은 장애여성 성폭행 사건으로 시설폐쇄 명령을 받은 전주자림원과 자림인애원 원생 135명 중 자립을 희망하는 50명을 체험홈, 자립생활가정 등 소규모 시설로 이주시키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선결돼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다.

 

또한 자립을 희망하지 않은 85명의 장애인도 도내 다른 장애인 거주시설로 이주시키는 방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전주자림원·자림인애원 원생들이 모두 옮겨갈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될 때까지는 원생들이 기존 시설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어 원생들의 심리적 안정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전주 동암재활원·소아진달래집·평안의집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 109명 가운데 자립을 희망하는 70명에 대해서도 연간 목표인원을 정해 올해 하반기부터 오는 2019년까지 순차적으로 이주시키는 방안도 제시됐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지역 시설거주 장애인을 대상으로 탈시설 및 자립생활 욕구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는 전주자림원 등 전주지역 5개 시설 이용 장애인 244명과 생활재활교사 7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전체 이용 장애인의 49.2% (120명)가 자립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사 대상 장애인의 8.6%(21명)는 자립을 희망하지 않았고, 나머지 42.2%(103명)는 ‘무응답·잘 모른다’로 집계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장애여성 성폭행 사건으로 지난달 시설폐쇄 명령이 내려진 전주자림원 및 자림인애원 원생 135명 중 50명(37%)이 자립을 희망했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들이 거주할 수 있는 체험홈·공동생활가정 등 소규모 거주시설 확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시설폐쇄된 전주자림원과 자림인애원 원생들이 모두 안정적인 시설로 옮겨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장애인의 권익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