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개발특구 기술 이전 인센티브 시스템 구축이 과제"

산학연 R&D 기관장 포럼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에 따른 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물이 사업화로 이어져 이익이 발생할 경우 대학, 연구기관 내 연구자들에게 인센티브를 배분하는 시스템 구축이 선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23일 전북대 진수당에서 열린 ‘2015년 전라북도 산학연 R&D 기관장 포럼’에서 나왔다. 이날 포럼은 송하진 전북도지사, 김광수 전북도의회의장, 이남호 전북대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개발특구! 전북의 미래, 새로운 100년을 말하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임창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기획조정본부장은 “현재는 대학과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배분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로 이러한 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산·학·연·관 협력은 선언적인 메아리에 그칠 것”이라며 “기술 사업화의 첫걸음은 기술 공급 주체가 기술이전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도록 대학, 연구기관 내 평가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말했다.

 

이우송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장은 “연구개발특구는 R&D에 기반을 둔 기업 활성화가 최종 목표인 만큼 연구자와 수요자 중심의 의제를 파악해 맞춤형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진 (주)지니스 대표이사는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원천 기술 확보, 제품 차별화 등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또 스위스 바젤의 노바티스 본사 사례를 들며 도내에 본사를 둔 핵심 기업을 발굴해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