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김제육교 재가설 더 못미룬다

정밀진단 안전성 E등급 / 작년 9월부터 차량 제한 / 시민, 4월부터 서명운동 / 중앙부처 국비지원 요청

지난 1985년 철도청에서 가설, 김제시에 이관한 김제육교(용동교)가 정밀안전진단 결과 안정성 E등급으로 판명 돼 재가설이 시급하나 엄청난 소요예산 때문에 엄두를 못내고 있어 대형사고 위험이 우려 되고 있다.

 

철도청이 1985년 준공, 김제시에 인계한 호남선 철도 횡단 김제육교는 종단구배가 8%로 시설기준(5%) 미달이며, 2011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안전성 E등급 판정을 받은 재난위험시설로써 2014년 9월 부터 차량통행 제한을 실시 하고 있는 등 언제 대형사고가 터질 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다.

 

김제시는 이 같은 대형사고 위험을 안고 있는 김제육교 재가설을 위해 그동안 중앙부처를 상대로 국비지원을 요청, 2012년 국비지원 근거(철도안전법 개정)가 마련됐으나 부처 간 이견 및 추진 의지 부족 등으로 아직까지 시행령이 개정되지 못해 국비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제육교 재가설에는 약 240여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는 가운데 행정당국(중앙부처)의 미온적인 태도에 김제시민 및 시민단체 등이 나서 국비지원 건의서명운동을 추진, 국회와 중앙부처에 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국비확보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지난 4월 국비확보를 위해 시민서명운동을 추진했던 전북경제살리기 김제지역본부(본부장 여홍구)는 이달 23일 김제시민의 염원을 담은 건의서 및 서명지를 국회를 비롯 중앙부처(기재부·국토부·국민권익위)에 전달하고 김제육교 재가설을 위한 국비지원을 강력히 요청했다.

 

김제육교는 호남선 철도가 통과하는 과선교로써 교량 노후화로 인해 붕괴가 우려 되고 있는 가운데 교량이 붕괴될 경우 대형사고 우려가 높아 하루빨리 재가설이 이뤄져야 한다는게 교량을 통과해본 운전자 및 시민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여홍구 전북경제살리기 김제지역본부장은 “김제육교 재가설 문제는 정말 시급한 사안으로, 돈을 따질 사안이 아니다”면서 “차일피일 시간을 지체하다 자칫 대형사고가 발생할 경우 상상만해도 정말 끔찍한 일로, 과거 성수대교 붕괴사고와 세월호 참사 같은 상상도 하기 싫은 대형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음에도 돈때문에 또 당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성토했다.

 

시민 A씨(57·김제시 검산동)도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대형사고를 예산 또는 부처 간 이기주의로 당한 사례를 우리는 많이 학습했지 않느냐”면서 “사고 발생후에 책임여부를 따지지 말고 하루빨리 중앙부처에서 예산을 지원, 김제육교가 재가설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