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3일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전북연구개발특구를 최종 지정했다. 전북도는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연구개발특구를 유치하면서 농생명 융복합, 탄소산업을 주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화를 목표로 내걸었다. 전통과 첨단과학의 융복합을 통해 도·농 상생형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전북연구개발특구의 주요 내용, 추진 계획=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주 사업화 촉진지구 9.9㎢를 비롯해 완주 융복합소재부품 거점지구 4.5㎢, 정읍 농생명융합 거점지구 1.5㎢ 등 모두 15.9㎢에 조성된다.
연구개발특구는 국립·정부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이 연구개발을 통해 신기술을 창출하고, 공공연구 성과물을 사업화하는 지역이다.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세제 혜택은 물론 연구소기업 창업, 첨단기술기업 육성, 신기술 사업화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매년 기술 사업화를 위한 국비 100억 원이 지원된다.
전주시 사업화 촉진지구는 친환경첨단복합단지, 전북혁신도시 일대로 R&D 사업화, 지식서비스 지원 관련 거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농생명과학연구를 비롯한 탄소소재, 인쇄전자 융복합제품의 생산 기지 역할을 맡게 된다.
완주군 융복합소재부품 거점지구는 전주과학연구단지, 완주테크노밸리 일대에 조성되고 그래핀 등 융복합 소재 연구를 담당하게 된다. 정읍시 농생명융합 거점지구는 첨단과학산업단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등의 기반을 활용해 방사선융합기술(RFT)·생명공학(BT) 관련 연구, 네트워크 집적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의 의미=전북도는 지난 2010년 광주·대구와 함께 연구개발특구를 신청했지만, 홀로 고배를 마셨다. 이후 농생명 융복합산업 중심의 정부출연기관 등 연구 인프라가 들어서면서 연구개발특구 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등 6개 정부출연기관과 국립농업·식량·축산·원예특작 과학원 등 4개 국립연구기관을 갖추게 됐다.
이처럼 전북도는 농생명과 탄소산업 등 R&D 기관이 집적돼 있으나 체계적인 기술 사업화 시스템, 지원 재원 등이 미흡해 우수한 기술이 사업화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실정이다.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연구기관, 대학,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 성과물이 사업화되도록 자금, 세제혜택을 지원해 기술사업화 성과를 극대화할 전망이다.
또 농생명 산업의 경우 전통적인 농업 방식을 벗어나 발효 미생물, 종자 육종, 바이오 융합 등 생명공학(BT), 정보기술(IT)과의 융복합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소재부품산업의 경우 탄소복합소재 부품, 인쇄전자 소재 부품, 방사선융합기술(RFT) 응용 생체소재 등 고부가가치 소재 산업의 육성을 통해 관련 기업을 유치할 것으로 예상된다.